오늘은 어제의 자신에게 이기고
내일은 한 수 아래인 자에게 이겨서
훗날에는 한 수 위인 자에게 이긴다
이 책은 일본의 전설적인 검객 미야모토 무사시(1584~1645)가 1643년에 쓴 〈오륜서(五輪書)〉를
번역한 것이다. 〈오륜서〉는 일종의 병법서로, 무사시의 검법 정신은 사무라이 정신과 함께 일본
봉건 도덕을 지탱해준 기둥이 되었다. 검술에서 적을 쓰러뜨리기 위해서는 상대와 자신과의 사이에서
정신과 기술을 절묘하게 조화시켜야 하는 법이다.
무사시는 끊임없이 자신을 단련하여 적과의 승부에서, 혹은 자신과의 승부에서 비정하리만큼 원칙적이고
합리적인 것을 터득해 그 승리의 핵심을 〈오륜서〉에 담아냈다.
하루하루가 전장터이고 냉혹한 승부의 시대인 현대에 와서 〈오륜서〉는 인간 완성의 서(書)로서, 인간경영의
전략서로서 음미해볼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370년이나 지난 현대에 와서 꾸준히 읽히는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자기수양의 지침, 인간완성의 서(書)!
얼핏 보면 이 책의 내용이 검법과 ‘오로지 적을 베는’ 것을 목적하는 듯이 보인다. 간혹 비정하고 냉혹함마저
느껴질 정도이다. 그러나 그 의미를 깊이 음미해보면 지금 우리의 현실을 생생히 반영해주고 있다.
하루하루가 전장터이고 먹느냐, 먹히느냐 하는 승부의 시대인 현대에 와서 ‘적’은 ‘경쟁자’ 혹은 ‘목표’이고,
‘적을 벤다’는 것은 ‘경쟁에서 살아남는다’라고 바꾸어놓고 읽으면 그 의미가 너무도 구체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소름을 돋게까지 한다.
이 책 곳곳에는 합리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갖고,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을 경고하며, 자신의 능력과 수단을
극대화시켜 오직 적에게 이길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무사시는 단순히 적을 이기는 것만을 얘기하지 않는다.
더 깊은 의미로는 적을 이기기에 앞서 자신을 이기라는 부단한 자기 수양을 말하고 있다.
미야모토 무사시(일본어: 宮本武蔵, 1584년? ~ 1645년 6월 13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인물로, 단 한 번의 대결에서도 패하지 않은
전설적인 검술가로 알려져 있다. 서화에도 능한 예술가로도 알려져 있다.
저서로는 《오륜서》(五輪書)가 있다. 오륜서(일본어: 五輪書 고린노쇼[*])는 무사시가 집필한
병법서로, 무사시가 만년에 레이간도(霊巌洞) 동굴에서 2년에 걸쳐 저술한 작품으로 1643년
집필을 시작하여 1645년 집필을 마쳤다. 책 제목대로 '땅(地), 물(水), 불(火), 바람(風),
하늘(空)'의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신이 걸어온 무사로서의 길을 간략하게 서술한 뒤, 무사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 등을
담았다. 현재도 검도를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 널리 읽히고 있다.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으며
다수의 사본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무사시 사후에 제자가
집필했다는 설도 있다.
미야모토 무사시의 검술은 일반적인 검술과 달리 두 개의 검(장검과 단검)을 사용하는 것으로,
니토류(二刀流, 이도류) 혹은 엔메이류 검법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도 일본은 미야모토무사시를
류조로 하는 니텐이치류와 다른 류조로 하는 류파가 전승되고 있다 )
예술가로서의 무사시
무사시 사후 21년이 지난 칸분6년 (1666년)에 씌여진 ‘카이죠이야기’에서 무사시가 그림을
그리는 이야기가 적혀져있는 등 화가로서 무사시는 유명했다. 현재 남아 있는 작품의 대부분이
만년의 작품이라고 생각되며, 쿠마모토에서의 작품은 호소카와가 가로의 팔대성주였던
마츠이가나 만년의 무사시의 생활을 돕던 테라오 노부유키의 테라오가를 중심으로 남겨진 것이
소유자를 바꾸며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수묵화에 대해서는 니텐의 이름을 사용한 것이 많다. 화풍의 카이호우 유우쇼의 영향을 지적하는
연구자도 있지만 누군가에게 전문적으로 배운 적은 없는 설을 지지하는 연구자가 많다.
검선일여(劍禪一如)의 경지가 훌륭하게 그려진 작품으로 평가되는 것도 있지만, 직업화가가 아닌
미숙함, 소박함이 역으로 작품의 평가를 높여준다는 설도 있다. 필체, 화풍이나 화인, 저명 등에
진짠지 가짜인지에 대한 연구도 되고 있지만 명확한 결론은 내어지지 않았다.
주요한 그림으로서 ‘제도(두견새그림)’ ‘정면달마도’ ‘문복포대도(배를 어루만지는 포대 그림??)’
‘호안도(기러기 그림)’ (이상은 영청문고장) ‘호엽달마도’ ‘야마도(야생마 그림)’ (이상 마츠이 문고장)
‘고목명격도(고목위에 까치의 그림)’ (이즈미시쿠보 기념관) ‘주무숙도’ ‘유압도(오리가 노니는 그림)’
‘포대도’(이상은 오카야마 현립 미술관), ‘포대관투계도’(후쿠오카 미술관) 등이 있다.
글로서는 ‘독행도’ (쿠마모토 현립 미술관) ‘전기(戰氣)’(마츠이 문고장)등이 진작으로 인정되고
있다. 전래가 확실한 무사시작의 공예품으로는 흑칠한 ‘안장’, 후나지마의 전투에 사용된 목도등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는 ‘목도’ 한자루. 니텐이치류 수련용 대소 한쌍의 ‘목도’가 마츠이 가에 남아있다.
또 무사시의 작품으로 유명한 ‘부동명왕상’(개인 소장)은 전래 작품으로서 진작의 가능성이 없다.
역자 : 안수경
역자 안수경은 중앙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했다. 출판 기획자로 일했고, 현재는 전문 번역가로 활동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한손에는 논어를 한손에는 주판을> <아이를 지혜롭게 꾸짖는 비결 99>
<상하이人 홍콩人 베이징人> 등이 있다.
※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