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8-05-29 16:57
무심無心이 진심眞心이다- 만공의 문에 보월의 답
 글쓴이 : 만사지
 

무심無心이 진심眞心이다-만공의 문에 보월의 답 

만공스님 사진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만공스님

"어째서 이처럼 보기 어렵습니까."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어느날 대중이 모여 앉아 수박을 먹고 있는데 만공 스님이 나뭇가지에서 매미가 우는 소리를 듣고 말했다. 

"매미를 가장 빨리 잡아 오는 사람에게는 수박 값을 받지 않겠지만, 못 잡아 오면 천원씩 받아야겠다." 

이 말에 어떤 스님은 매미 잡는 시늉을 했고, 어떤 스님은 매미 우는 소리를 냈다. 

잠자코 주먹을 내밀기도 했다. 
매미를 잡아 오랬는데 다들 딴 짓이다.

만공 스님은 그들에게 모두 천 원을 받았다. 그러자 다른 스님이 앞으로 나섰다. 바닥에 원을 그린 뒤 말하기를. 
"상 가운데는 부처가 없고, 부처 가운데는 상이 없습니다.(相中無佛 佛中無相)."

퍽 멋들어진 대답이었지만 실속은 없었다. 스승은 고개를 저었고 에누리 없이 천원을 내놓아야 했다. 

만공스님 제자 보월 스님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때마침 보월 스님이 들어오자 만공 스님이 같은 질문을 던졌다.
"자네는 어떻게 하겠는가?" 

보월 스님은 아무 말 없이, 즉시 호주머니에서 천 원을 꺼내 만공 스님에게 바쳤다. 
만공 스님이 말했다. 
"자네가 내 뜻을 알았네."

보월 스님을 제외한 나머지 제자들은 마음에 자꾸 상(相) 을 내고 있다. 공부깨나 했다는 자만심으로 이런저런 작위를 연출한 것이다. 

반면 보월 스님은 '무심無心'으로 스승의 마음을 얻었다. 
무심이란 이렇다 저렇다 생각을 내지 않는 일이고, 생각을 내지 않는다는 생각도 없는 마음의 본래 자리다. 

보월 스님의 행동은 지금 이 순간의 마음을 가식이나 조작 없이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게 진실임을 일러주고 있다. 
즉불卽佛이다. 

지금 그대로가 부처이고 지금 그대로를 느끼는 것이 부처다. 가깝다는 표현도 모자라다. 손톱만큼이 차이도 없다. 

<선사들의 공부법: 공부하지 마라 中>
--------------------------------------------------------------

<경허-만공-보월로 이어지는 한국 전통선맥>

보월 성인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금오스님은 경허(鏡虛) 만공(滿空) 보월(寶月)선사로 이어지는 한국불교 정통 선맥(禪脈)을 이었다. 경허스님은 더 이상 언급이 필요 없는 한국불교 중흥조(中興組)이다. 선사의 법은 ‘삼월(三月)’, 경허가 배출한 월(月)자 돌림의 세 명의 걸출한 제자 혜월(慧月) 수월(水月) 월면(月面, 만공)에 의해 이어져 크게 융성, 오늘의 한국불교를 만들었다.

삼국시대 이 땅에 전파된 불교는 몇 차례 부침을 겪는다. 민족의 명운, 민초들과 함께하며 성쇠(盛衰)를 반복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무렵 화엄(華嚴)사상으로 정립돼 통일 삼국의 찬란한 문화를 꽃 피웠지만 귀족화 되면서 선불교에 자리를 내준다. 자유분방하고 기개 넘치는 남종선(南宗禪)은 천하의 패권을 놓고 다투는 지방호족들의 요구와 맞아 떨어져 고려를 탄생시키고 국교(國敎)의 지위를 획득, 새로운 문화를 꽃피운다. 그러나 권력과 금권에 취하면서 타락, 명운이 기울었으나 마음 닦음을 강조하는 보조국사의 등장으로 융성의 기회를 갖는다. 조선왕조의 탄압 속에서도 위기에 처한 국가를 구하는 호국불교로서 다시 한번 민족의 가슴에 자리 잡은 불교는 그러나 500년간의 기나긴 탄압을 견디지 못하고 구한말에 이르러 명맥마저 위태롭게 된다. 권력과 멀어지는 바람에 민중 속으로는 들어갔지만 우수한 인력의 단절과 우선 살아남아야하는 극한의 위기는 불교의 정체성마저 포기하게 만들었다.

 

혜성같이 등장한 선사

 

이때 혜성처럼 등장한 인물이 바로 경허스님이다. 오늘날 한국불교의 선맥은 경허선사의 출현과 뛰어난 행화(行化)로부터 새롭게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산 천장암에서 경허스님을 연구하며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옹산스님은 “경허에 의해 여러 곳에 선원과 선실이 개설됨으로써 불교계에 새로운 선수행 풍토가 조성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끊어지다시피 했던 선풍이 다시 진작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래서 경허를 일러 ‘한국 간화선의 부흥자’ 나아가 ‘한국근대불교의 중흥조’로 보는 것이다. 근대 선종사에서 경허스님의 위상은 이능화가 <조선불교통사>에서 열거한 16명의 선종 인사 중 절반이 경허의 제자이거나 관련 있는 인물인 점에서 근대 선불교에서 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잘 드러난다.

경허선사는 총림을 중심으로 하는 수행 체계와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법 등 중국에서 발원해 신라-고려-조선으로 이어졌던 전통수행체계를 회복했다는 점에서 중흥조로 불리우기에 충분하다. 경허선사가 복원하고 일으킨 선수행법과 불교의 핵심 정신은 오늘날 고스란히 이어져오고 있으며, 청,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선수행법과 문화를 상실했던 중국이 연수단을 보내 배워갈 정도로 그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경허가 복원하고 제자 만공선사가 중흥시킨 수행체계와 법은 일제에 맞서 한국전통의 선법을 지키는 힘이 되었다. 경허선사가 정립한 한국 전통의 수행법과 문화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 불교로부터 지켜야할 이유와 대상이 분명했던 것이다. 이는 일본불교에 맞서 우리 고유의 수행법을 고수했던 주체들이 대부분 선사이며, 이들이 경허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더욱 분명해진다. 경허가 초창기 경(經)을 읽고 강의하는 강사였으며 이를 매우 자랑스러워했다는 점은 당시 주류 불교 분위기를 반영한다. 하지만 전염병이 창궐하는 지역을 지나가며 경전공부가 사람을 살리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함을 알고 문자를 버리고 목숨을 건 화두 참선에 들어가는 경험은 전통적 간화선사의 궤적을 그대로 밟고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선사들의 정형으로 이어오고 있다.

경허선사는 독각(獨覺)에 머물지 않고 조선 전체에 전파함으로써 향후 한국불교가 다시 일어날 씨앗을 뿌린다. 견성 후 20여년을 호서지방에 머물며 새로 복원한 고유의 선(禪) 전통을 보여주며 많은 제자를 양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1898년 범어사 초청을 받아 영남지방으로 가서 범어사 해인사를 중심으로 선원을 개설하고 수선사를 창건하며 납자들을 제접한다.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되기 전 경허가 호서와 영남을 돌며 우리의 고유한 선법을 전파했기 때문에 그 씨앗이 발아(發芽)해 일제에 맞서는 한국선사들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 중심에 제자 만공스님이 있었다.

 

왜색불교 딛고 ‘조계종’ 이끌어내

 

만공스님은 1871년 전북 태인 출신으로 법명은 월면 법호는 만공, 세수 75세 법납 62세로 1946년 10월에 입적했다. 만공스님은 경허스님의 선법을 이은 제자로 수덕사를 중심으로 40여 년 간 선법을 펼치며 현대 한국불교 선 체계를 확립한 대선사이다. 오늘날 고승으로 추앙받는 수많은 스님과 세계최대 비구니 교단을 만든 비구니 큰스님들의 대부분이 만공스님과 닿는 것을 보면 현재 한국불교는 만공스님을 빼고는 논할 수가 없을 정도로 스님의 덕화가 크고 넓다.

만공스님은 경허스님을 이어 선종 전통을 확립 보급하고 일제의 한국불교 훼손에 대응해 경허선사가 수립한 한국선불교를 지키는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 경허스님이 정체성을 상실한 선불교 전통을 회복하고 조선에 그 씨앗을 뿌렸다면 만공스님은 일제의 왜색화에 맞서 스승에 이어 다시 선불교를 지키고 융성시켰다. 일본불교의 각 종파가 경쟁적으로 한국에 진출하고 조선총독부에 의한 식민지화, 일본과 그를 따르는 조선 승려들에 의해 한국의 불교가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온몸으로 끌어안고 해결했던 주인공이 바로 만공스님이었다.

만공스님은 홀로 토굴에 머물지 않고 수많은 선지식을 양성하는 한편 일제의 불교말살정책에 맞서 철저한 수행과 불교개혁운동으로 민족불교의 전통을 이어갔다. 그 결실이 선학원이었다. 스님은 1901년 범어사 계명암에서 깨달음을 얻은 이후 덕숭산에 금선대를 짓고 정혜사를 열어 납자들을 제접했다. 덕숭산에 머물지 않고 남전ㆍ도봉ㆍ석두스님 등 당대의 선지식들과 힘을 합쳐 한국 전통선의 부흥을 위해 서울 중앙에 대표적인 선원을 세웠으며 이어 선우공제회를 창설하여 전통선을 발전시켜 불조의 정맥을 계승하고 교리연구와 정법 포교를 통하여 불법을 널리 홍포하고자 했다. 또 선학원과 각 지역 선원에 재정적 자립을 원활히 하고 전반적인 조직과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조선불교선리참구원을 설립했다. 이처럼 선원을 짓고 이의 운영에 필요한 사람과 재정을 확보한 만공스님은 그 힘을 바탕으로 1935년 조선불교선종을 창종해 조선불교의 전통종단을 창립하고 대표 종정에 추대된다. 이 힘은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 성립으로 이어진다. 일제강점기 말 일본 제국주의의 불교정책과 일본 불교 침투로 인하여 청정 승려의 전통이 희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계종지를 확인하는 등의 승풍을 진작시키고자 유교법회를 개최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이 바탕이 되어 1946년 해인사 가야총림 창설로 이어지고 이듬해 봉암사 결사, 그리고 1950년대 정화와 이후 조계종 창립으로 이어지니 만약 만공스님이 없었다면 조선불교는 일제강점기에 명맥 유지조차 불가능했을 것이며 오늘날의 한국불교도 존재하지 않았을지 모른다.

만공스님의 법은 첫 법제자인 보월성인(寶月性印, 1884~1924)스님에게 이어졌다. 40세 젊은 나이에 입적한 탓에 뚜렷한 행장이 남아있지 않지만 보월스님의 법맥이 금오태전(金烏太田, 1896~1968)스님에게 이어져 오늘날 한국 선맥을 대표하는 덕숭문중의 한 일파를 이루었으니 그 인연이 남다르다. 1884년 충남 서산에서 태어난 보월스님은 만공스님을 만나기 전에는 충남 서해안 일원인 호서지방(湖西)을 떠도는 평범한 탁발승이었다가 (만공스님의 속가 형님인) 대은스님으로부터 “출가했으면 참선공부를 해야 한다”는 경책을 듣고 덕숭산 정혜사에 주석하던 만공스님 회상에 들었다.

 

스승의 곡기를 끊게 한 제자

 

보월스님에 이르러서는 경허-만공으로 이어지는 선불교 수행이 적어도 호서 지방에는 광범위하게 뿌리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님의 회상에서 보월스님은 화두 참구를 하며 보리방아 찧는 소임을 맡았다. 오조 홍인 회상에 들어가 방앗간 일을 맡았던 혜능스님의 데자뷰를 보는 듯하다. 혜능은 육조(六祖)로 인가 받았으면서도 기존 기득권에 밀려 18년간을 숨어 지내야 했지만 보월스님은 정식으로 인가받고 법제자가 되었다. 만공스님의 첫 번째 법제자로 입실건당한 것이다. 이때가 1913년 보월스님 나이 29세 때였다. 보월스님은 치열한 정진으로 만공스님 회상에서 번뜩이는 선기(禪機)를 내보였으며 만공스님의 주선으로 예산 보덕사 조실을 맡아 후학을 제접했다. 일하면서 공부하는 선농일치의 삶을 보였다. 보월스님이 만공스님을 만나는 과정과 공부하고 법을 인가받는 방식, 선원의 운영 등은 전형적인 선 수행 방식을 보여준다. 경허스님은 떠났지만 스님의 선법이 만공스님에 의해 계승되어 그 제자들에 의해 정착단계에 들어섰음을 보여준다. 보월선사는 그러나 40세에 돌연 입적했다. 만공스님은 보월스님의 입적 소식을 듣고 3일간 공양을 끊었다고 하니 제자를 아낀 마음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구한말 위기에 처한 한국 전통 선맥이 경허선사에 의해 살아나고, 다시 일제에 의해 퇴색될 위기에서 만공선사를 중심으로 한 조선의 선지식들이 일으켜 세운 불교는 보월을 거쳐 되살아나지만 해방 후에도 여전히 과거의 잔재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다시 한번 선지식의 출현을 기다린다.

<불교신문3049호/2014년10월15일자>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농협 356-0719-4623-83안정주
※ 통합경전계좌 : 국민은행 901-6767-9263노영균sjm5505@hanmail.net
※ 투자금 계좌: 하나은행 654-910335-99107 안정주

만사지 18-05-29 17:01
 
금오스님은 경허(鏡虛) 만공(滿空) 보월(寶月)선사로 이어지는 한국불교 정통 선맥(禪脈)을 이었다.
만사지 18-05-29 17:02
 
오늘날 한국불교의 선맥은 경허선사의 출현과 뛰어난 행화(行化)로부터 새롭게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사지 18-05-29 17:08
 
보월스님에 이르러서는 경허-만공으로 이어지는 선불교 수행이 적어도 호서 지방에는 광범위하게 뿌리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백초 18-05-29 17:32
 
잠자코 주먹을 내밀기도 했다.
매미를 잡아 오랬는데 다들 딴 짓이다.
산백초 18-05-29 17:33
 
무심이란 이렇다 저렇다 생각을 내지 않는 일이고, 생각을 내지 않는다는 생각도 없는 마음의 본래 자리다.
산백초 18-05-29 17:35
 
경허선사는 총림을 중심으로 하는 수행 체계와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법 등 중국에서
발원해 신라-고려-조선으로 이어졌던 전통수행체계를 회복했다는 점에서 중흥조로 불리우기에 충분하다.
늘배움 18-05-29 19:04
 
"매미를 가장 빨리 잡아 오는 사람에게는 수박 값을 받지 않겠지만, 못 잡아 오면 천원씩 받아야겠다."
늘배움 18-05-29 19:05
 
보월 스님은 아무 말 없이, 즉시 호주머니에서 천 원을 꺼내 만공 스님에게 바쳤다.
늘배움 18-05-29 19:06
 
경허가 복원하고 제자 만공선사가 중흥시킨 수행체계와 법은 일제에 맞서 한국전통의 선법을 지키는 힘이 되었다.
오월의햇살 18-05-30 08:35
 
"어째서 이처럼 보기 어렵습니까."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오월의햇살 18-05-30 08:36
 
보월 스님을 제외한 나머지 제자들은 마음에 자꾸 상(相) 을 내고 있다. 공부깨나 했다는 자만심으로 이런저런 작위를 연출한 것이다.

반면 보월 스님은 '무심無心'으로 스승의 마음을 얻었다. 무심이란 이렇다 저렇다 생각을 내지 않는 일이고, 생각을 내지 않는다는 생각도 없는 마음의 본래 자리다.
오월의햇살 18-05-30 08:38
 
불교는 그러나 500년간의 기나긴 탄압을 견디지 못하고 구한말에 이르러 명맥마저 위태롭게 된다. 권력과 멀어지는 바람에 민중 속으로는 들어갔지만 우수한 인력의 단절과 우선 살아남아야하는 극한의 위기는 불교의 정체성마저 포기하게 만들었다.
오월의햇살 18-05-30 08:38
 
경허를 일러 ‘한국 간화선의 부흥자’ 나아가 ‘한국근대불교의 중흥조’로 보는 것이다. 근대 선종사에서 경허스님의 위상은 이능화가 <조선불교통사>에서 열거한 16명의 선종 인사 중 절반이 경허의 제자이거나 관련 있는 인물인 점에서 근대 선불교에서 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잘 드러난다.
오월의햇살 18-05-30 08:39
 
경허스님이 정체성을 상실한 선불교 전통을 회복하고 조선에 그 씨앗을 뿌렸다면 만공스님은 일제의 왜색화에 맞서 스승에 이어 다시 선불교를 지키고 융성시켰다. 일본불교의 각 종파가 경쟁적으로 한국에 진출하고 조선총독부에 의한 식민지화, 일본과 그를 따르는 조선 승려들에 의해 한국의 불교가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온몸으로 끌어안고 해결했던 주인공이 바로 만공스님이었다.
오월의햇살 18-05-30 08:41
 
구한말 위기에 처한 한국 전통 선맥이 경허선사에 의해 살아나고, 다시 일제에 의해 퇴색될 위기에서 만공선사를 중심으로 한 조선의 선지식들이 일으켜 세운 불교는 보월을 거쳐 되살아나지만 해방 후에도 여전히 과거의 잔재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다시 한번 선지식의 출현을 기다린다.
겨울 18-05-30 09:06
 
퍽 멋들어진 대답이었지만 실속은 없었다. 스승은 고개를 저었고 에누리 없이 천원을 내놓아야 했다.
겨울 18-05-30 09:07
 
삼국시대 이 땅에 전파된 불교는 몇 차례 부침을 겪는다. 민족의 명운, 민초들과 함께하며 성쇠(盛衰)를 반복했다.
겨울 18-05-30 09:08
 
보월스님에 이르러서는 경허-만공으로 이어지는 선불교 수행이
적어도 호서 지방에는 광범위하게 뿌리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일강 18-05-30 19:57
 
만공 스님은 그들에게 모두 천 원을 받았다. 그러자 다른 스님이 앞으로 나섰다. 바닥에 원을 그린 뒤 말하기를.
"상 가운데는 부처가 없고, 부처 가운데는 상이 없습니다.(相中無佛 佛中無相)."
나일강 18-05-30 19:58
 
보월 스님을 제외한 나머지 제자들은 마음에 자꾸 상(相) 을 내고 있다. 공부깨나 했다는 자만심으로 이런저런 작위를 연출한 것이다.
반면 보월 스님은 '무심無心'으로 스승의 마음을 얻었다. 무심이란 이렇다 저렇다 생각을 내지 않는 일이고, 생각을 내지 않는다는 생각도 없는 마음의 본래 자리다.
나일강 18-05-30 19:59
 
경허가 복원하고 제자 만공선사가 중흥시킨 수행체계와 법은 일제에 맞서 한국전통의 선법을 지키는 힘이 되었다. 경허선사가 정립한 한국 전통의 수행법과 문화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 불교로부터 지켜야할 이유와 대상이 분명했던 것이다.
나일강 18-05-30 20:00
 
만공스님은 홀로 토굴에 머물지 않고 수많은 선지식을 양성하는 한편 일제의 불교말살정책에 맞서 철저한 수행과 불교개혁운동으로 민족불교의 전통을 이어갔다. 그 결실이 선학원이었다. 스님은 1901년 범어사 계명암에서 깨달음을 얻은 이후 덕숭산에 금선대를 짓고 정혜사를 열어 납자들을 제접했다.
나일강 18-05-30 20:01
 
혜능은 육조(六祖)로 인가 받았으면서도 기존 기득권에 밀려 18년간을 숨어 지내야 했지만 보월스님은 정식으로 인가받고 법제자가 되었다.
호반도시 18-05-31 01:09
 
보월 스님의 행동은 지금 이 순간의 마음을 가식이나 조작 없이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게 진실임을 일러주고 있다. 즉불卽佛이다.
호반도시 18-05-31 01:16
 
선사의 법은 ‘삼월(三月)’, 경허가 배출한 월(月)자 돌림의 세 명의 걸출한 제자
혜월(慧月) 수월(水月) 월면(月面, 만공)에 의해 이어져 크게 융성, 오늘의 한국불교를 만들었다.
호반도시 18-05-31 01:17
 
경허를 일러 ‘한국 간화선의 부흥자’ 나아가 ‘한국근대불교의 중흥조’로 보는 것이다.
근대 선종사에서 경허스님의 위상은 이능화가 <조선불교통사>에서 열거한 16명의 선종 인사 중
절반이 경허의 제자이거나 관련 있는 인물인 점에서 근대 선불교에서 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잘 드러난다.
호반도시 18-05-31 01:42
 
경허스님이 정체성을 상실한 선불교 전통을 회복하고 조선에 그 씨앗을 뿌렸다면 만공스님은
일제의 왜색화에 맞서 스승에 이어 다시 선불교를 지키고 융성시켰다. 일본불교의 각 종파가 경쟁적으로
한국에 진출하고 조선총독부에 의한 식민지화, 일본과 그를 따르는 조선 승려들에 의해 한국의 불교가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온몸으로 끌어안고 해결했던 주인공이 바로 만공스님이었다.
사오리 18-06-01 02:23
 
'공명심'을 가졌느냐. '공명심'을 갖지 않았느냐에 따라 인연이 갈라진다.
공명심이 있는 사람은 꿈을 향해 크게 나아가야 할 때 주저앉아 버린다.
욕심을 버리고 공명심이 아닌, 공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어야 큰 인재가
될 수 있다.

"공치사, 공명심을 버려라.".
현포 18-06-01 22:27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되기 전 경허가 호서와 영남을 돌며 우리의 고유한 선법을 전파했기 때문에 그 씨앗이 발아(發芽)해
일제에 맞서는 한국선사들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 중심에 제자 만공스님이 있었다.
현포 18-06-01 22:28
 
보월선사는 그러나 40세에 돌연 입적했다. 만공스님은 보월스님의 입적 소식을 듣고 3일간 공양을 끊었다고 하니
제자를 아낀 마음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카오스 18-06-06 06:17
 
보월 스님은 아무 말 없이, 즉시 호주머니에서 천 원을 꺼내 만공 스님에게 바쳤다.
만공 스님이 말했다.
"자네가 내 뜻을 알았네."
카오스 18-06-06 06:23
 
경허가 복원하고 제자 만공선사가 중흥시킨 수행체계와 법은 일제에 맞서 한국전통의
선법을 지키는 힘이 되었다. 경허선사가 정립한 한국 전통의 수행법과 문화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 불교로부터 지켜야할 이유와 대상이 분명했던 것이다.
아사달 18-06-10 11:58
 
"매미를 가장 빨리 잡아 오는 사람에게는 수박 값을 받지 않겠지만, 못 잡아 오면 천원씩 받아야겠다."
아사달 18-06-10 11:59
 
이 말에 어떤 스님은 매미 잡는 시늉을 했고,
어떤 스님은 매미 우는 소리를 냈다.
잠자코 주먹을 내밀기도 했다.
매미를 잡아 오랬는데 다들 딴 짓이다.
아사달 18-06-10 12:00
 
다른 스님이 앞으로 나섰다. 바닥에 원을 그린 뒤 말하기를.
"상 가운데는 부처가 없고, 부처 가운데는 상이 없습니다.(相中無佛 佛中無相)."
퍽 멋들어진 대답이었지만 실속은 없었다.
스승은 고개를 저었고 에누리 없이 천원을 내놓아야 했다.
아사달 18-06-10 12:01
 
때마침 보월 스님이 들어오자 만공 스님이 같은 질문을 던졌다.
"자네는 어떻게 하겠는가?"
보월 스님은 아무 말 없이, 즉시 호주머니에서 천 원을 꺼내 만공 스님에게 바쳤다.
만공 스님이 말했다.
"자네가 내 뜻을 알았네."
아사달 18-06-10 12:02
 
보월 스님의 행동은
지금 이 순간의 마음을 가식이나 조작 없이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게 진실임을 일러주고 있다.
즉불卽佛이다.
 
 

Total 9,9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9247 [붓다를 만난 사람들] 12. 밧다 카필라니 (31) 호반도시 06-03
9246 백오제~ 과도기 칠년지나 세살림시작입니다. (40) 향수 06-02
9245 회사 채무를 보증했다가 퇴사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1) 곰소젓갈 06-02
9244 [붓다를 만난 사람들] 11. 난다 (30) 호반도시 06-02
9243 [시진핑 원톱 시대] '팀왕치산', 미·중 패권경쟁의 돌격대인가? 평화의 메신저인가? (37) 현포 06-01
9242 미야모토 무사시의《오륜서(五輪書)》 * 그 무기를 내가 들 수 있는가? (35) 사오리 06-01
9241 [붓다를 만난 사람들] 10. 케마 (28) 호반도시 05-31
9240 무심無心이 진심眞心이다- 만공의 문에 보월의 답 (37) 만사지 05-29
9239 퇴계의 ‘위기지학(爲己之學)’ 말과 행동이 일치된 삶 (48) 흰두루미 05-29
9238 46[헤르메스의 빛으로] 서양 고전문헌학의 제도적 확립 (31) 카오스 05-28
9237 일본 일본인 3 - 인간 심연(深淵)의 여행자 가쓰시카 호쿠사이 (34) 현포 05-27
9236 박성득,강호의《백만장자와 함께한 배낭여행》 * 간절한 마음 (24) 사오리 05-27
9235 안보는 ~~~척척척 다 보는할배의 눈 x꽈배기 다리 (23) 고기먹는땡중 05-25
9234 김정은의 비핵화 롤 모델은 넬슨 만델라 (40) 봉평메밀꽃 05-25
9233 [붓다를 만난 사람들] 9. 사리풋다 (28) 호반도시 05-25
9232 일본 일본인 2 - ‘유럽인 최초 사무라이’ 윌리엄 애덤스(미우라 안진)의 모험 (40) 현포 05-23
9231 45[헤르메스의 빛으로] 서양고전학의 재발견(3)-라틴어 대사전 (32) 카오스 05-23
9230 민중과 리더4 <시루의 떡 익히는 이치> (40) 아사달 05-22
9229 조정(朝廷)이 텅텅 빈 지 오래로다 / ‘판문점 선언’의 역사적 위치를 살핀다 (2)/정상회담과 남북한 기본협정 (29) 선유도 05-22
9228 일본 일본인 1 - 400년 전 태평양을 건넌 사무라이 '하세쿠라 쓰네나가'의 모험 (35) 현포 05-21
9227 [붓다를 만난 사람들] 8. 말리카 (29) 호반도시 05-21
9226 [MV][참 좋은 시절 OST] 슬픔도 지나고 나면 - 이문세 4분 58초 (16) 딴따라고사리 05-19
9225 “핵무기 그냥 두면 인류의 종말 뻔하다” (34) 봉평메밀꽃 05-18
9224 구글 듀플렉스 '인공지능, 감쪽같이 대화하다' (40) 블루베리농장 05-18
9223 이집트, 수수께끼 도시 카이로 (36) 각설탕 05-18
9222 미국 대외정책인 트럼프 운전론 - 북한의 벼랑끝 몽니 작전 (71) 혁명가 05-17
9221 정약용과 칼 마르크스 / 인류의 멸망 /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35) 선유도 05-16
9220 44[헤르메스의 빛으로] 뮈토스와 히스토리아 (32) 카오스 05-15
9219 MB, 다스 그리고 차명주식의 법률관계 (25) 곰소젓갈 05-14
9218 한근태의《고수의 질문법》 * 변화는 땀을 요구한다 (31) 사오리 05-14
9217 붓다를 만난 사람들」7. 지와카 (26) 호반도시 05-13
9216 군자 선비와 소인 선비 / 변하고 통하는 길만이 활로다 / ‘판문점 선언’의 역사적 위치를 살핀다 (1) (34) 선유도 05-12
9215 43[헤르메스의 빛으로] 뮈토스-‘말’에서 ‘소문·전설 ·신화’로 발전 (30) 카오스 05-1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