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7-09-19 06:24
중국 고대 경학교육 및 법률에 대한 영향1- 한나라 경학교육 흥기 및 법률 영향
 글쓴이 : 선유도
 

중국 고대 경학교육 및 법률에 대한 영향1

중국고대에서 경학의 지위는 유럽에서의 <성경>, 아랍세계에서의 <코란경>과 같다. 경학은 곧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며, 경학교육은 곧 고대의 정치학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법률은 정치의 반영인데, 서한 이래 2천여 년 동안 경학과 경학교육은 법률의 생성에 심원한 영향을 끼쳤다. 교육기구의 설치, 고시 내용과 형식, 인재 선발과 임용 등 방면에서처럼 경학은 행정법에 직접 반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윤리의 기준, 죄와 잘못의 판단, 친등(親等)의 계산 등 역대 형법의 제정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심지어 근대에 이르러 국체(國體)의 변혁 가운데서도 개혁파와 혁명파의 투쟁 무기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행정법과 관련된 문제는 찰거(察擧)제도와 과거제도 등의 연구 논저에서 언급되었기 때문에, 본 고에서는 주로 경학교육의 고대형법과 근대 헌정사상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과 경학

경학은 유가 경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며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다. 따라서 경학교육은 중국 고대 교육제도의 핵심적 내용이기도 하다. 고대 학문에는 경, , , 집 등 4개 분야로 나뉘는데, 고대인들이 일컫는 명정(名正), 언순(言順), 사성(事成)에서 ()’이란 곧 경학이고, ‘()’은 자학(字學), ‘()’는 사학(史學)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경학은 고대 인 학문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경학은 두 가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경학은 유가경전이다. ‘()’의 본의는 견직품 중의 경선(經線)을 가리키는데, 견직기의 위쪽 방향으로 단단히 묶여진 선이다. 위선은 베틀 북으로 경선을 횡으로 엮는 선이며, 견직품의 색채·문양·과밀의 변화는 주로 위선의 변화로 비롯된다. 경선은 보통 불변하기 때문에 은 위아래를 관통하고 영원히 불변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서주(西周)서부터 양진(兩晋)에 이르기까지 주요 서적자료와 문자의 담체를 ()’이라 하는데, 문자가 새겨진 죽편 혹은 목편을 일컫는 것으로서 매 편 간의 길이에 따라 십여 혹은 수십 자()를 썼다. 한편의 글월은 수십 편간이 필요했으며, 편과 편 사이는 명주로 된 끈 혹은 삼실로 된 끈으로 연결하여 둘둘 말면 곧 한 편()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책의 형식과 견직품의 이치는 같다고 할 수 있는데, 간편(簡片)은 경선에 해당되고 연철(連綴)한 끈은 위선에 해당된다. 따라서 간편으로 된 문장이나 책을 ()’이라고 했다. 먼저 이 있고 그리고 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은 또한 매우 이르다는 의미도 있다.()’은 상형글자인데 간()을 연철해서 엮은 책이 책꽂이 위에 있는 것을 형상하는 것으로서 중요하고 장중한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경전은 아주 오래 전부터 그리고 매우 중요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중국 고대에서는 유가의 책을 이라 했던 것이 아니라 무릇 어떤 류의 책 중에서 가장 일찍 발견된 것을 모두 이라 했다. 예컨대 <노자><도덕경>, <묵자><묵경>이라 한다든지 또 <법경>, <내경>, <수경>, <다경> 그리고 불교의 <금강경> 등등 이다. 유가의 책을 경으로 칭한 것으로 가장 이른 것으로는 <장자> 천운편에 공자는 시, , , , , 춘추 등 6경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서한 때에 악경이 망실되었고, 한 무제는 백가를 물리치고 유술(儒術)만 남기라고 하여 5경 박사를 두었다. 이로써 유가 경전은 처음으로 통치자에 의해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둘째, 경학은 유가 경전을 해석한 책이다. 경전만 있고 토론, 변론이 없으면 경학이라 할 수 없다. 학파 간의 논쟁이 있어야 학술은 비로소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한 선제 때는 제유들을 석거각(石渠閣)에 모아 5경을 강론하게 하였고, 논쟁이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선제가 정론(定論)하였다. 토론 결과를 집성하여 <석거의주(石渠議奏)>로 엮었고, <춘추곡량>을 비롯하여 대소하후(大小夏侯)<상서>, 양구(梁丘)<()> 등 서로 다른 학파의 박사들이 배출되었다. 이 때로 부터 진정한 의미에서의 경학이 정식으로 형성되었다. 경학의 형성 시기부터 유가학설의 핵심 부분은 곧 중국 관방의 정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의 흐름과 통치자의 정책적 도움을 받아 유가경전을 전석(詮釋)한 서적이 점점 많아져서 그 수량은 경전 자체를 능가하였다.

서한 무제 때부터 경학은 지식인이 되는 중요한 관문이었기 때문에 동한 때에 이미 상당한 규모로 발전하였다. 반고(班固)<한서·예문지>를 지었는바 이는, 서한(西漢) 왕망(王莽) 때 유흠(劉歆)<칠략>에 따라 당시의 모든 도서를 육예략, 제자략, 시부략, 병서략, 수술략, 방기략 등 6가지로 나눈 것 중에서 제일 큰 부류인 육예를 육경과 이와 상관된 연구성과에 따라 역, , , , , 춘추, 논어, 효경, 소학 등 9가지로 작게 분류하여 경학 저작 103(), 3123편을 수록한 것이다. 동진(東晋) 초기 랑이충(郞李充)이 지은 <원제사부서목(元帝四部書目)>은 서목을 오경, 사기, 제자, 시부 등 사부(四部)로 나눈 것이다. 당나라 초기 장손무기(長孫無忌)가 편저한 <수서·경적지>는 정식으로 경, , , 집 등 사부 서목으로 형성되었다. 청나라 때의 <사고전서(四庫全書)>에는 경부에 수록된 경학 저작은 모두 1773, 20427권에 이른다. 한나라 때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봉건사회에서는 경학이 중국 고대 학술의 주체였으며 또한 2천여 년 중국 고대교육의 주된 내용이었다.

경은 경학의 기초이다. 다만 경과 경학은 2천여 년 동안 고착화 되었던 것이 아니라 변화하면서 발전하였다. 첫째, 유가경전은 변화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춘추전국시대 때는 육예(六藝)’라고 하였고, 서한 때는 <()>이 유실되어 오경이라 하였다. 동한 때에는 <논어>, <효경>을 더하여 칠경이라 하였다. 당나라 초에는 <논어>, <효경>이 경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의례(儀禮)> 외에 <예기><주례>가 포함되었다. 춘추는 근거하는 전()에 따라 <춘추공양전>, <춘추곡양전>, <춘추좌전> 3가지로 나눈다. 이렇게 하여 오경이 구경(九經)으로 확대되었다. 당나라 후기의 문종 개성2(837)에는 위의 구경에다가 다시 <논어>, <효경>, <이아(爾雅)>가 보태어졌다. 장안의 국자감 문 앞에 돌비석을 세워 지식인의 교육과 과거고시의 12개 학과의 문자를 새겨 개성 12이라 하였다. 송나라 때는 12경에 <맹자>를 보태어 ‘13이라 하였는데, 지금까지 많이 전해지는 것은 중화서국에서 영인한 청대 완원(阮元)이 교열하고 인쇄한 송판 <13경주소>이다. 그 중 주소(注疏)를 뺀 나머지 13경의 정문(正文)은 모두 약 65만자에 이른다. 이와같이 고시대 때에도 독서와 과거가 얼마나 어려웠는지 알 수 있다. 남송의 주희는 13경 중에서 <논어>, <맹자>를 취하고 <예기>에서 <대학>, <중용>을 취하여 사서(四書)’라고 하였다. 오경과 배합하여 사서오경이라 하여 고대 경학교육의 기본적인 독본으로 삼았다. 둘째, 경학 역시 변화된다는 점이다. 후대에 유가경전을 해석한 책은 역대 경학교육의 중심이 달라짐에 따라 2천년 동안 금문경학, 고문경학, 송학 등으로 나누어지며 서로 교합되기도 해서 발전 단계를 이루고 있다. 그 기간에 참위경학(讖緯經學)처럼 도태된 것도 있고 <석거주의>처럼 일실(佚失)된 것도 있다. 그러나 더욱 많은 경학작품이 보존되었는바 특히 인쇄술이 발명된 후에는 위대한 경학자료가 보전되어 중국 고대 경학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고도 풍부하게 해주고 있다.

 

. 한나라 경학교육의 흥기 및 법률에 대한 영향

 1. 한나라 경학교육의 흥기

서주 때부터 귀족자제를 교육하는 학교가 있었으며, 소학과 대학으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으로 8세가 되면 소학에 입학하여 문자와 간단한 숫자를 익혔고, 이어서 음악을 배우고 시를 암송하였으며 간단한 춤도 배웠다. 15세가 되면 대학에 들어가서 활쏘기와 말타기 그리고 복잡한 춤을 배웠고, 이어서 귀족의 예의를 익혔다. 여기서 제일 중시했던 본령은 무() 방면에서는 활쏘기와 말타기이었으며, () 방면에서는 시()와 부()였다. 그래서 이른 바 높은 산에 오르면 시를 지을 수 있어야 대부라 할 수 있다는 말이 생기기도 하였다. 그 때에는 경학교육이란 말이 없었다.

춘추전국시기에는 제후들이 할거해서 패권을 다투었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자기를 보존하고 또 부국강병 할 수 있는 방법과 이론이었다. 당시의 지식인들은 이러한 책임을 담당하였다. 일단 부강할 수 있는 방법과 이론을 찾아내고 또 적합한 제후 왕국의 군주를 만나면 관중, 추연, 이회, 상앙 등처럼 입신양명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중국 역사상 사상계에 공전(空前)백가쟁명시대가 되었다. 당시 학파가 등장하고 사립학교가 세워졌으며 교육의 대상은 귀족에서 평민으로 확대되어 학생은 점점 많아지고 영향력은 점점 커졌으며 인재를 구할 기회도 점점 많아졌다. 학교 교재는 모두 스스로 만든 것이었으며 교학은 주로 구두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주로 생각하는 능력과 말솜씨를 배양하는 것이었고, 저술하고 말하는 문자능력에 치중하지 않았다. 유가는 춘추시대 말기에 최초로 세워진 학파였으며, 사립학교의 하나였다. 공자는 제자들을 데리고 각국을 주유(周遊)하며, 자신의 치국사상을 소개하고 제자들의 취업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공자와 그 사후의 제자들이 연속하여 가르쳤던 것은 유가교육이라 할 수 있을 뿐이었고, 경학교육이라고 부를 수는 없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첫째, 유학은 당시에 아직 관방교육이 되지 못하고 일개 학파가 사적으로 전수된 것이었고 둘째, 경학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 유가사상이 의식형태의 주류를 이루지 못하였고 유가교육 역시 사회의 보편적인 교육형태로 발전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유가교육에서 사용된 교재를 육경이라 하고 또는 육예라고도 하는데, 6가지 교학 과목을 의미하는 것이다. 육경의 배열순서는 시, , , , , 춘추이다. 이와 같은 6가지 교학 과목은 그 깊이가 깊고 얇은 정도에 따라 선후(先後) 과정을 진행하였다.

경학교육은 서한 때에 일어났다. 서한 초기는 진나라에 이어서 학문이 깊은 사람을 어떤 사상학파인지를 불문하고 박사로 세웠는데, 경학을 전하는 박사는 없었다. 문경(文景) 때에야 비로소 경학을 전하는 박사가 있게 되었다. 박사에는 한가지 경을 전하는 박사가 있는데 이를 일경(一經)박사라 하여 기타 박사와 병렬하였다. 장생, 조착 등 서()박사가 있었고 신공, 원고, 한영과 같은 시()박사가 있었으며 호모생, 동중서와 같은 춘추박사가 있었다. 무제 때에는 백가를 물리치고 유술(儒術)만 남기라고 하여 정식으로 오경을 전수하는 박사가 생겼다. 아울러 기타 박사는 없앴다. 동중서의 태학을 일으키고, 명사(明師)를 두어 천하의 선비를 양성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경학박사를 중심으로 태학을 일으키고, 박사제자를 모집하여 정원 50명을 두었는데 성제 때에는 3천명으로 늘어나 70년간 60배로 확대되었다. 동한 시기에는 박사제자를 태학생이라 불렀는데, 환제 때 최고봉을 이루어 3만 여명이나 되었다. 대학교육의 시작으로 천하에 금문경학이 통합되었다.

한나라의 학제는 크게 3단계로 되어있었다. 소학단계(계몽교육단계)의 학교를 서관(書館)’이라고 하였고, 교사는 서사(書師)’라 불렀다. 사용된 교재는 <창힐(蒼頡)>, <범장(凡將), <급취(急就)>, <원상(元尙)> 등이 있었는데, 목적은 학동들이 글자를 익히고 글자를 연습하는 데에 있었다. 또한 <구장산술(九章算術)> 등 기초적인 셈법에 관한 교재도 있었다. 중학단계에서는 주로 <논어>, <효경>을 배웠는데 이는 비교적 통속적인 경학이었다. 교사를 효경사(孝經師)’라고 불렀는데 이 단계는 좀 융통성이 있는 것이어서 소학의 고급단계 혹은 대학의 예비단계와 합병하기도 하였다. 대학단계에서는 육예를 배웠다


선유도 17-09-19 06:53
 
<<중국고대에서 경학의 지위>>
유럽에서의 <성경>, 아랍세계에서의 <코란경>
선유도 17-09-19 06:56
 
<<경학>>
유가 경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며 중국 고대의 정치
선유도 17-09-19 06:57
 
<<경학>>
유가 경전
유가 경전을 해석한 책
산백초 17-09-19 08:55
 
경학은 곧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며, 경학교육은 곧 고대의 정치학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법률은 정치의 반영인데, 서한 이래 2천여 년 동안 경학과 경학교육은 법률의 생성에 심원한 영향을 끼쳤다.
산백초 17-09-19 08:57
 
위선은 베틀 북으로 경선을 횡으로 엮는 선이며, 견직품의 색채·문양·과밀의 변화는 주로 위선의 변화로 비롯된다.
경선은 보통 불변하기 때문에 ‘경’은 위아래를 관통하고 영원히 불변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산백초 17-09-19 09:02
 
경학교육은 서한 때에 일어났다. 서한 초기는 진나라에 이어서 학문이 깊은 사람을 어떤 사상학파인지를 불문하고
박사로 세웠는데, 경학을 전하는 박사는 없었다. 문경(文景) 때에야 비로소 경학을 전하는 박사가 있게 되었다.
수양버들 17-09-19 10:47
 
중국고대에서 경학의 지위는 유럽에서의 <성경>, 아랍세계에서의 <코란경>과 같다. 경학은 곧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며, 경학교육은 곧 고대의 정치학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수양버들 17-09-19 10:48
 
경학은 유가 경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며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다
수양버들 17-09-19 10:49
 
경학은 유가 경전을 해석한 책이다. 경전만 있고 토론, 변론이 없으면 경학이라 할 수 없다. 학파 간의 논쟁이 있어야 학술은 비로소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수양버들 17-09-19 10:50
 
경은 경학의 기초이다. 다만 경과 경학은 2천여 년 동안 고착화 되었던 것이 아니라 변화하면서 발전하였다. 첫째, 유가경전은 변화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수양버들 17-09-19 10:51
 
서주 때부터 귀족자제를 교육하는 학교가 있었으며, 소학과 대학으로 구분하였다
늘배움 17-09-19 15:10
 
교육기구의 설치, 고시 내용과 형식, 인재 선발과 임용 등 방면에서처럼 경학은 행정법에 직접 반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윤리의 기준, 죄와 잘못의 판단, 친등(親等)의 계산 등 역대 형법의 제정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심지어 근대에 이르러 국체(國體)의 변혁 가운데서도 개혁파와 혁명파의 투쟁 무기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늘배움 17-09-19 15:15
 
그 기간에 참위경학(讖緯經學)처럼 도태된 것도 있고 <석거주의>처럼 일실(佚失)된 것도 있다. 그러나 더욱 많은 경학작품이
보존되었는바 특히 인쇄술이 발명된 후에는 위대한 경학자료가 보전되어 중국 고대 경학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고도 풍부하게 해주고 있다.
늘배움 17-09-19 15:20
 
한나라의 학제는 크게 3단계로 되어있었다. 소학단계(계몽교육단계)의 학교를 ‘서관(書館)’이라고 하였고,
교사는 ‘서사(書師)’라 불렀다. 사용된 교재는 <창힐(蒼頡)>, <범장(凡將), <급취(急就)>, <원상(元尙)> 등이
있었는데, 목적은 학동들이 글자를 익히고 글자를 연습하는 데에 있었다.
겨울 17-09-19 17:21
 
경학은 유가 경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며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다. 따라서 경학교육은 중국 고대 교육제도의 핵심적 내용이기도 하다.
겨울 17-09-19 17:24
 
춘추는 근거하는 전(傳)에 따라 <춘추공양전>, <춘추곡양전>, <춘추좌전> 등 3가지로 나눈다. 이렇게 하여
오경이 구경(九經)으로 확대되었다. 당나라 후기의 문종 개성2년(837년)에는 위의 구경에다가 다시 <논어>, <효경>, <이아(爾雅)>가 보태어졌다.
겨울 17-09-19 17:28
 
당시 유가교육에서 사용된 교재를 육경이라 하고 또는 육예라고도 하는데, 곧 6가지 교학 과목을 의미하는 것이다.
육경의 배열순서는 시, 서, 예, 악, 역, 춘추이다. 이와 같은 6가지 교학 과목은 그 깊이가 깊고 얇은 정도에 따라 선후(先後) 과정을 진행하였다.
밀알 17-09-20 07:36
 
중국고대에서 경학의 지위는 유럽에서의 <성경>, 아랍세계에서의 <코란경>과 같다. 경학은 곧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며, 경학교육은 곧 고대의 정치학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법률은 정치의 반영인데, 서한 이래 2천여 년 동안
경학과 경학교육은 법률의 생성에 심원한 영향을 끼쳤다.
밀알 17-09-20 07:37
 
서한 무제 때부터 경학은 지식인이 되는 중요한 관문이었기 때문에 동한 때에 이미 상당한 규모로 발전하였다.
반고(班固)는 <한서·예문지>를 지었는바 이는, 서한(西漢) 왕망(王莽) 때 유흠(劉歆)의 <칠략>에 따라 당시의 모든 도서를
육예략, 제자략, 시부략, 병서략, 수술략, 방기략 등 6가지로 나눈 것 중에서 제일 큰 부류인 ‘육예’를 육경과 이와 상관된
연구성과에 따라 역, 서, 시, 예, 악, 춘추, 논어, 효경, 소학 등 9가지로 작게 분류하여 경학 저작 103가(家), 3123편을
수록한 것이다.
밀알 17-09-20 07:38
 
서주 때부터 귀족자제를 교육하는 학교가 있었으며, 소학과 대학으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으로 8세가 되면 소학에 입학하여
문자와 간단한 숫자를 익혔고, 이어서 음악을 배우고 시를 암송하였으며 간단한 춤도 배웠다. 15세가 되면 대학에 들어가서
활쏘기와 말타기 그리고 복잡한 춤을 배웠고, 이어서 귀족의 예의를 익혔다.
호반도시 17-09-20 13:30
 
중국 고대에서는 유가의 책을 ‘경’이라 했던 것이 아니라 무릇 어떤 류의 책 중에서 가장 일찍
발견된 것을 모두 ‘경’이라 했다. 예컨대 <노자>를 <도덕경>, <묵자>를 <묵경>이라 한다든지
또 <법경>, <내경>, <수경>, <다경> 그리고 불교의 <금강경> 등등 이다.
호반도시 17-09-20 13:31
 
유가의 책을 경으로 칭한 것으로 가장 이른 것으로는 <장자> 천운편에 “공자는 시, 서, 예, 악,
역, 춘추 등 6경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서한 때에 악경이 망실되었고, 한 무제는 “백가를
물리치고 유술(儒術)만 남기라”고 하여 5경 박사를 두었다. 이로써 유가 경전은 처음으로
통치자에 의해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호반도시 17-09-20 13:32
 
한나라 경학교육의 흥기

서주 때부터 귀족자제를 교육하는 학교가 있었으며, 소학과 대학으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으로
8세가 되면 소학에 입학하여 문자와 간단한 숫자를 익혔고, 이어서 음악을 배우고 시를 암송하였으며
간단한 춤도 배웠다. 15세가 되면 대학에 들어가서 활쏘기와 말타기 그리고 복잡한 춤을 배웠고,
이어서 귀족의 예의를 익혔다. 여기서 제일 중시했던 본령은 무(武) 방면에서는 활쏘기와 말타기이었으며,
문(文) 방면에서는 시(詩)와 부(賦)였다. 그래서 이른 바 “높은 산에 오르면 시를 지을 수 있어야 대부라
할 수 있다”는 말이 생기기도 하였다. 그 때에는 경학교육이란 말이 없었다.
호반도시 17-09-20 13:33
 
경학교육은 서한 때에 일어났다. 서한 초기는 진나라에 이어서 학문이 깊은 사람을 어떤 사상학파인지를
불문하고 박사로 세웠는데, 경학을 전하는 박사는 없었다. 문경(文景) 때에야 비로소 경학을 전하는 박사가
 있게 되었다. 박사에는 한가지 경을 전하는 박사가 있는데 이를 일경(一經)박사라 하여 기타 박사와
병렬하였다. 장생, 조착 등 서(書)박사가 있었고 신공, 원고, 한영과 같은 시(詩)박사가 있었으며 호모생,
동중서와 같은 춘추박사가 있었다.
아사달 17-09-20 18:55
 
중국고대에서 경학의 지위는 유럽에서의 <성경>, 아랍세계에서의 <코란경>과 같다. 경학은 곧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며, 경학교육은 곧 고대의 정치학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아사달 17-09-20 18:55
 
경학은 곧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며, 경학교육은 곧 고대의 정치학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법률은 정치의 반영인데, 서한 이래 2천여 년 동안 경학과 경학교육은 법률의 생성에 심원한 영향을 끼쳤다.
아사달 17-09-20 18:56
 
고대 학문에는 경, 사, 자, 집 등 4개 분야로 나뉘는데, 고대인들이 일컫는 명정(名正), 언순(言順), 사성(事成)에서 ‘명(名)’이란 곧 경학이고, ‘언(言)’은 자학(字學)을, ‘사(事)’는 사학(史學)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경학은 고대 인 학문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경학은 두 가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아사달 17-09-20 18:58
 
서한 무제 때부터 경학은 지식인이 되는 중요한 관문이었기 때문에 동한 때에 이미 상당한 규모로 발전하였다.
아사달 17-09-20 19:00
 
경학교육은 서한 때에 일어났다. 서한 초기는 진나라에 이어서 학문이 깊은 사람을 어떤 사상학파인지를 불문하고 박사로 세웠는데, 경학을 전하는 박사는 없었다. 문경(文景) 때에야 비로소 경학을 전하는 박사가 있게 되었다. 박사에는 한가지 경을 전하는 박사가 있는데 이를 일경(一經)박사라 하여 기타 박사와 병렬하였다. 장생, 조착 등 서(書)박사가 있었고 신공, 원고, 한영과 같은 시(詩)박사가 있었으며 호모생, 동중서와 같은 춘추박사가 있었다.
각설탕 17-09-21 18:12
 
경학은 유가 경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며 중국 고대의 정치학이다. 따라서 경학교육은 중국 고대 교육제도의
핵심적 내용이기도 하다. 고대 학문에는 경, 사, 자, 집 등 4개 분야로 나뉘는데, 고대인들이 일컫는 명정(名正), 언순(言順),
사성(事成)에서 ‘명(名)’이란 곧 경학이고, ‘언(言)’은 자학(字學)을, ‘사(事)’는 사학(史學)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경학은 고대 인
학문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경학은 두 가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각설탕 17-09-21 18:13
 
남송의 주희는 13경 중에서 <논어>, <맹자>를 취하고 <예기>에서 <대학>, <중용>을 취하여 ‘사서(四書)’라고
하였다. 오경과 배합하여 ‘사서오경’이라 하여 고대 경학교육의 기본적인 독본으로 삼았다.
각설탕 17-09-21 18:13
 
한나라의 학제는 크게 3단계로 되어있었다. 소학단계(계몽교육단계)의 학교를 ‘서관(書館)’이라고 하였고,
교사는 ‘서사(書師)’라 불렀다. 사용된 교재는 <창힐(蒼頡)>, <범장(凡將), <급취(急就)>, <원상(元尙)> 등이 있었는데,
목적은 학동들이 글자를 익히고 글자를 연습하는 데에 있었다.
사오리 17-09-25 01:28
 
'믿는' 것과 '믿어주는' 것이 있다. 이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믿는 것은 무조건적이다.
어떤 조건이나 단서를 달지 않고, '그사람이니까' 믿는 것이다. 팥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
도 믿고, 나는 맛이 없는데 그가 맛있다고 하면 그냥 믿는 것이다.
'믿어주는' 것은 다르다. 의심이 가고, 혹은 나를 속이는 걸 알지만 믿어주는 것이다
 
 

Total 9,914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8825 달팽이와 나비-아이와 어른이 같이 읽는 짧은 동화 (33) 플라워 09-20
8824 라파엘로가 그린 한 장의 그림에서 그리스를 불러내다 (41) 똑딱벌레 09-19
8823 중국 고대 경학교육 및 법률에 대한 영향4-송원명청 경학교육의 입법 및 근대 헌정이념에 대한 영향 (34) 선유도 09-19
8822 중국 고대 경학교육 및 법률에 대한 영향3-당나라 경학교육의 특징 및 그 법률적 영향 (33) 선유도 09-19
8821 중국 고대 경학교육 및 법률에 대한 영향2- 위진남북조 경학교육의 특징과 법률에 대한 영향 (29) 선유도 09-19
8820 중국 고대 경학교육 및 법률에 대한 영향1- 한나라 경학교육 흥기 및 법률 영향 (33) 선유도 09-19
8819 51<세계의 명소 태국편> 청춘들 휴식처 꼬창, 소박한 정서인 섬 코사멧, 9개의 작은 섬 시밀란 (26) 각설탕 09-18
8818 커피한잔 생각나게 하는 음악입니다. (12) 구름나그네 09-18
8817 서민갑부 (31) 이순신 09-18
8816 말의 의미를 공유하지 못하는 사회 / 이 땅의 문화는 어디로 갔는가? (35) 선유도 09-18
8815 잼있는 'Never Ending Story' 3분 38초 (24) 딴따라고사리 09-17
8814 가을의 찬서리에도 담담한 뜻을 보인다 (13) 블루베리농장 09-17
8813 미스 춘향의 '원망' 큰 소리꾼이 되거라.. 큰 소리꾼이 되거라... 3분 50초 (16) 딴따라고사리 09-16
8812 세살림~가보신앙에서 생활개벽신앙 으로~` (40) 향수 09-16
8811 오직 정도로만 가게 하소서 (29) 호반도시 09-16
8810 '부(welth)'란? 헨리 데이비드 쏘로 (58) 플라워 09-15
8809 『周易』과 중국 고대 교육3 (33) 선유도 09-15
8808 『周易』과 중국 고대 교육2 (31) 선유도 09-15
8807 『周易』과 중국 고대 교육1 (34) 선유도 09-15
8806 가입인사 드립니다 _()_ (35) 플라워 09-14
8805 가을국화가 피기 전 (16) 블루베리농장 09-14
8804 1. 어머니의 편지, 2. 친구란 무엇인가?, 3. 무거우면 내려놓으면 되지, 4. 바지에 난 구멍은 모두 몇 개일까요? (30) 밀알 09-14
8803 인간 vs 기계 | 인공지능과 영드 'Humans' (12) 구름나그네 09-14
8802 증시랑에 대한 답서 : 1. 여래의 말은 분별심을 치료하는 방편 2.생각 비우면 아무것도 없는 허공 (25) 호반도시 09-14
8801 인재 등용의 어려움 / ‘인문한국’에의 꿈 (36) 선유도 09-13
8800 강수진의《한 걸음을 걸어도 나답게》 * 베스트 파트너 (30) 사오리 09-13
8799 진실한 명성만이 오래간다. (23) 가우스 09-12
8798 50-1<세계의 명소> 지중해성 기후의 선물 그리스- 메테오라, 산토리니 (28) 각설탕 09-12
8797 50<세계의 명소> 지중해성 기후의 선물 그리스- 아테네, 델포이, (30) 각설탕 09-12
8796 저 딱따구리가 전생의 내 애인일까요? (28) 흰두루미 09-11
8795 한주의 시작입니다. 경쾌한 음악과 함께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13) 구름나그네 09-11
8794 원효스님의 발심수행장 (30) 호반도시 09-11
8793 1.위대한 도전, 2.상대방이 되어보는 것, 3.도전하는 자와 안주하는 자, 4.썩은 달걀은 냄새만 맡아도 (25) 밀알 09-1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