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7-09-13 06:58
인재 등용의 어려움 / ‘인문한국’에의 꿈
 글쓴이 : 선유도
 

인재 등용의 어려움

동양정치의 희망은 요순(堯舜)시대를 재현하는데 있었습니다. 요순시대에는 인재등용에 탁월했기 때문에 겉으로는 아무런 하는 일없이(無爲而治) 보여도 그처럼 좋은 정치가 이룩되었음은 인재등용에 온갖 정성을 바쳐 뛰어난 인재들을 발탁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그들이 책임을 완수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진 결과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정치의 요체는 역시 인재등용입니다. 과거 전통시대에는 공거제(貢擧制)에 의하여 인물을 천거하고, 천거된 인물에서 능력을 평가하여 등용하는 제도였지만, 중세인 고려왕조나 조선왕조는 과거제(科擧制)에 의하여 인재를 발탁하고 등용시켰던 이유로 제대로 된 인재가 발탁되지도 못하고 그 제도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세상이 갈수록 타락한 세상이 되었다고 여긴 사람이 다산이었습니다.
 
  “과거학(科擧學)은 이단(異端) 가운데서도 폐해가 제일 혹독한 것이다. 과거학의 해독을 가만히 생각해보면 비록 홍수와 맹수라도 비유할 바가 못된다.(科擧之學 異端之最酷者也 科擧之學 靜思其毒 雖洪猛不足爲喩也:「爲盤山丁修七贈言」)”라고 말하여 과거제도의 해악에 대하여 다산은 혹독한 비판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암기 위주의 시험으로 인재를 발탁하는 제도가 지속되는 한, 절대로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다산의 결론이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을 그렇게 얕잡아 보던 시대에 과거제도 없는 일본의 역사 발전을 그렇게 높이 평가하기도 했습니다.“일본은 해외의 작은 나라지만 그 나라에는 과거학이 없기 때문에 문학(文學)은 구이(九夷:동아시아)에서 뛰어나고 무력(武力)은 중국과 맞먹는다. 또 나라를 유지하여 가는 규모와 기강이 삼엄하게 정제되어 문란하지 않고 조리가 있으니, 이것이 그 드러난 효험이 아닌가.「五學論」”
 
대학의 입학시험, 사법시험, 행정고시 등 시험으로 인재를 발탁하는 제도처럼 위험한 일이 없다고 여기면서도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은 요원하기만 합니다. 

학교의 성적 순위가 인간의 인격 순위가 아님을 빤히 알면서도 입시제도는 아직도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사법시험이 법조인 양성의 최고방법으로 오랫동안 존재하였음을 생각하면 정치가 그렇게 어렵고, 인재의 발탁과 임용이 그처럼 어렵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현 정부의 인재등용과 발탁에 허점이 보이면서 사람 쓰는 일이 새삼스럽게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게 됩니다. 다산은 시험이 아니라 주도면밀한 추천 제도를 통한 인재발탁을 선호했습니다. 규격과 틀에 짜인 과목을 암기해서 뽑는 시험의 문제를 광범위한 추천 제도를 활용하여 인재 발굴의 길을 열자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그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수많은 검증과 경험으로 믿을 수 있는 인재를 골라내면 창의적이고 활발한 기질의 인재를 발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본에는 과거제도가 오래전부터 없어 그렇게 많은 노벨학술상 수상자를 배출했겠구나 라고 여기면 다산의 주장을 무시하기도 어렵습니다.
 
인사실패가 거듭되는 오늘의 현실을 목격하면서, 만인이 인정하는 능력과 인격을 갖춘 인재들이 발굴되기를 기대하면서 다산이 싫어했던 과거제도를 언급해보았습니다.

                           박석무 


‘인문한국’에의 꿈

지난 여름, 다산연구소와 함께하는 중국인문기행을 다녀왔다. 우리가 둘러본 곳은 호남성 일원으로 성도인 장사를 비롯해서 악양, 멱라, 평강, 소산 등지였는데, 떠나기 전에 내가 알고 있었던 것은 모택동이 장사 출신이라는 것 정도가 고작이었다. 도착 당일 빗속에 처음으로 찾아간 곳이 악록서원이었다. 

주자의 백록동서원이야 그 이름만은 들어 알고 있었지만, 악록서원이 백록동서원에 버금가는 반열의 중국 4대 서원 중 하나요, 어쩌면 세계 최초의 대학이랄 수 있는 역사 깊은 교육기관이라는 것이나, 1167년에 주자가 찾아와 남헌 장식과 3일 밤낮에 걸쳐 심성론(心性論)을 토론한 성리학의 성지라는 것 등은 거기 찾아가서야 비로소 알았다.
 
아! 나의 무지와 무식함이여

지금 서울의 예술의전당에서 그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제백석(齊白石, 1864~1957)의 고향이 이 근처라는 것도 기념관에 가서야 알았다. 전시된 작품들을 관람하다가 기념관의 안내 아가씨가 중국의 남방에서 난다는 과일 그림 앞에서 이 작품이 매우 중요하다면서도, 그 까닭을 설명하지 못했다. 

서둘러 송재소 교수를 모셔다 그림 위쪽에 쓰여있는 화제(畵題)를 읽어달라고 해서야 제백석의 화론에 접할 수 있었다. 그림을 그리는 묘법은 같은 것과 같지 않은 것 사이에 있는데, 너무 같게 그리는 것은 세속에 영합하는 것이요, 너무 다르게 그리는 것은 세상을 기만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아! 나의 무지와 무식함이여. 한문을 줄줄 읽어 내려가는 송재소 교수가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어디를 가거나 송재소 교수가 준비한 안내책자는 그대로 우리들의 교과서였고, 그의 설명은 중국의 현지 책임자들조차 귀 기울일 만큼 깊고도 해박했다.
 
악양루가 유명한 것은 경승도 경승이지만 “동정호 있다는 말 옛날에 들었거니 오늘에야 악양루에 오르네(昔聞洞庭水 今上岳陽樓)”로 시작하는 두보의 시와 범중엄의 ‘악양루기(記)’에 힘입은바 더 크다는 사실도 이번에야 알게 되었다.
 
“(옛 어진 이는) 외물 때문에 기뻐하지 않고 자기 일신상의 일 때문에 슬퍼하지도 않는다. 조정의 높은 자리에 있으면 그 백성을 걱정하고, 멀리 강호에 살게 되면 그 임금을 걱정했으니 이는 나아가도 걱정하고 물러가도 걱정하는 것이다. 그러니 어느 때에 즐거워할 수 있겠는가. 반드시 말하기를 ‘천하 사람들이 걱정하기에 앞서 걱정하고 천하 사람들이 즐거워한 연후에 즐거워하였다’ 하리라. 아! 이런 사람들이 없었다면 내 누구와 함께할 수 있으리오.”
 
범중엄의 ‘먼저 걱정하고 뒤에 즐긴다(先憂後樂)’는 네 글자는 만세토록 위정자의 보감(寶鑑)이 되었으니, 두보의 시와 범중엄의 악양루기를 보고 난 뒤의 악양루는 어제 듣고 보던 그 악양루가 아니다. 인문의 힘은 이렇게 크다. 평강에 묻힌 두보의 묘사(墓祠)와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했던 굴원의 사당을 배관(拜觀)하면서 사람다운 사람은 누구이며, 역사는 무엇인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잃어버린 인문적 자존심

과연 중국은 인문의 보고였다. 인간의 무늬, 인문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 가는 곳마다 널려 있었다. 한나라 시대 가의의 고택이 상존하고 있는가 하면 신해혁명의 여전사 추근의 고거(故居)도 가꾸어지고 있었다. 한국의 비석거리에는 그 잘난 송덕비만 있지만, 중국에서는 다양한 서체와 함께 세워진 시비를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가 있었다. 굴원의 사당에서만도 356개의 시비가 서 있었다.
 
젊은 시절 모택동의 발길이 닿은 혁명의 유적들을 돌아보는 감회도 새로웠지만 모택동이 그 자신의 독특한 필체로 써놓은 시부(詩賦)들을 보면서 그의 넓고 깊은 인문적 소양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악양루 3층에도 두보의 시 ‘등악양루’가 모택동의 글씨로 걸려있었다. 강서성 구강의 비파정에도 그의 글씨가 걸려있는데 백낙천이 쓴 ‘비파행’ 616자를 외워서 썼는데 다만 다섯 글자만이 틀렸을 뿐이었다고 한다.
 
중국인문기행을 하면서 나는 한국의 참담한 인문적 수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중화(小中華)니 동방예의지국이니 하는 인문적 자존심이나 옛 선비들의 그 치열했던 인문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한류의 원조라 할 조선통신사들에 쏠렸던 일본인들의 선망과 존경의 눈길도 이제는 먼 옛날의 얘기가 되었다. 지금 일고 있는 한류라는 것도 인문이 밑받침되지 않는다면 한갓 한때의 바람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중고등학생은 한시를 200~300수 외울 수 있다는데 과연 한국의 학생들은 몇 수를 외울 수 있을까.
 
그 무렵 마침 국내에서는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한참이었는데, 그들의 부끄러움을 모르는 두꺼운 낯은 한국인문의 수준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부끄러움을 모르면 못할 짓이 없다는데(不恥則 無所不爲) 이 나라 정치지도자들에게 인문적 바탕이라는 것이 과연 있기나 한 것인지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백범 김구 선생은 그의 글 ‘내가 원하는 나라’에서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고 한 것은 우리나라가 이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인문국가로 가야 한다는 지침으로 나는 이해한다. ‘인문한국’, 그것이 우리가 가야 할 길이요 꿈이다. 한민족의 자존심을 인문에서 찾는 날이 그 언제나 올 것인가. 

                           김정남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농협 356-0719-4623-83안정주
※ 통합경전계좌 : 국민은행 901-6767-9263노영균sjm5505@hanmail.net
※ 투자금 계좌: 하나은행 654-910335-99107 안정주

선유도 17-09-13 06:58
 
동양정치의 희망은 요순(堯舜)시대를 재현
선유도 17-09-13 06:59
 
다산은 시험이 아니라 주도면밀한 추천 제도 인재등용
선유도 17-09-13 07:00
 
중국은 인문의 보고
겨울 17-09-13 08:34
 
요순시대에는 인재등용에 탁월했기 때문에 겉으로는 아무런 하는 일없이(無爲而治) 보여도 그처럼 좋은 정치가 이룩되었음은
인재등용에 온갖 정성을 바쳐 뛰어난 인재들을 발탁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그들이 책임을 완수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진 결과라는 것입니다.
겨울 17-09-13 08:37
 
현 정부의 인재등용과 발탁에 허점이 보이면서 사람 쓰는 일이 새삼스럽게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게 됩니다.
겨울 17-09-13 08:42
 
한류의 원조라 할 조선통신사들에 쏠렸던 일본인들의 선망과 존경의 눈길도 이제는 먼 옛날의 얘기가 되었다.
지금 일고 있는 한류라는 것도 인문이 밑받침되지 않는다면 한갓 한때의 바람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수양버들 17-09-13 11:03
 
과거학(科擧學)은 이단(異端) 가운데서도 폐해가 제일 혹독한 것이다
수양버들 17-09-13 11:04
 
일본은 해외의 작은 나라지만 그 나라에는 과거학이 없기 때문에 문학(文學)은 구이(九夷:동아시아)에서 뛰어나고 무력(武力)은 중국과 맞먹는다
수양버들 17-09-13 11:04
 
학교의 성적 순위가 인간의 인격 순위가 아님을 빤히 알면서도 입시제도는 아직도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사법시험이 법조인 양성의 최고방법으로 오랫동안 존재하였음을 생각하면 정치가 그렇게 어렵고, 인재의 발탁과 임용이 그처럼 어렵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수양버들 17-09-13 11:05
 
조정의 높은 자리에 있으면 그 백성을 걱정하고, 멀리 강호에 살게 되면 그 임금을 걱정했으니 이는 나아가도 걱정하고 물러가도 걱정하는 것이다. 그러니 어느 때에 즐거워할 수 있겠는가. 반드시 말하기를 ‘천하 사람들이 걱정하기에 앞서 걱정하고 천하 사람들이 즐거워한 연후에 즐거워하였다’ 하리라. 아! 이런 사람들이 없었다면 내 누구와 함께할 수 있으리오.”
수양버들 17-09-13 11:06
 
중국인문기행을 하면서 나는 한국의 참담한 인문적 수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중화(小中華)니 동방예의지국이니 하는 인문적 자존심이나 옛 선비들의 그 치열했던 인문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산백초 17-09-13 11:16
 
과거 전통시대에는 공거제(貢擧制)에 의하여 인물을 천거하고, 천거된 인물에서 능력을 평가하여
등용하는 제도였지만, 중세인 고려왕조나 조선왕조는 과거제(科擧制)에 의하여 인재를 발탁하고
등용시켰던 이유로 제대로 된 인재가 발탁되지도 못하고 그 제도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세상이
갈수록 타락한 세상이 되었다고 여긴 사람이 다산이었습니다.
산백초 17-09-13 11:18
 
인사실패가 거듭되는 오늘의 현실을 목격하면서, 만인이 인정하는 능력과 인격을 갖춘
인재들이 발굴되기를 기대하면서 다산이 싫어했던 과거제도를 언급해보았습니다.
산백초 17-09-13 11:24
 
중국인문기행을 하면서 나는 한국의 참담한 인문적 수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중화(小中華)니
동방예의지국이니 하는 인문적 자존심이나 옛 선비들의 그 치열했던 인문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늘배움 17-09-13 14:31
 
암기 위주의 시험으로 인재를 발탁하는 제도가 지속되는 한, 절대로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다산의 결론이었습니다.
늘배움 17-09-13 14:37
 
주자의 백록동서원이야 그 이름만은 들어 알고 있었지만, 악록서원이 백록동서원에 버금가는 반열의 중국 4대 서원 중 하나요,
어쩌면 세계 최초의 대학이랄 수 있는 역사 깊은 교육기관이라는 것이나, 1167년에 주자가 찾아와 남헌 장식과 3일 밤낮에 걸쳐
심성론(心性論)을 토론한 성리학의 성지라는 것 등은 거기 찾아가서야 비로소 알았다.
늘배움 17-09-13 14:41
 
부끄러움을 모르면 못할 짓이 없다는데(不恥則 無所不爲) 이 나라 정치지도자들에게
인문적 바탕이라는 것이 과연 있기나 한 것인지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바람꽃 17-09-13 17:18
 
한나라 시대 가의의 고택이 상존하고 있는가 하면 신해혁명의 여전사 추근의 고거(故居)도 가꾸어지고 있었다. 한국의 비석거리에는 그 잘난 송덕비만 있지만, 중국에서는 다양한 서체와 함께 세워진 시비를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가 있었다. 굴원의 사당에서만도 356개의 시비가 서 있었다.
바람꽃 17-09-13 17:19
 
학교의 성적 순위가 인간의 인격 순위가 아님을 빤히 알면서도 입시제도는 아직도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사법시험이 법조인 양성의 최고방법으로 오랫동안 존재하였음을 생각하면 정치가 그렇게 어렵고, 인재의 발탁과 임용이 그처럼 어렵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바람꽃 17-09-13 17:19
 
현 정부의 인재등용과 발탁에 허점이 보이면서 사람 쓰는 일이 새삼스럽게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게 됩니다. 다산은 시험이 아니라 주도면밀한 추천 제도를 통한 인재발탁을 선호했습니다. 규격과 틀에 짜인 과목을 암기해서 뽑는 시험의 문제를 광범위한 추천 제도를 활용하여 인재 발굴의 길을 열자는 것이었습니다.
바람꽃 17-09-13 17:20
 
요순시대에는 인재등용에 탁월했기 때문에 겉으로는 아무런 하는 일없이(無爲而治) 보여도 그처럼 좋은 정치가 이룩되었음은 인재등용에 온갖 정성을 바쳐 뛰어난 인재들을 발탁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그들이 책임을 완수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진 결과라는 것입니다.
바람꽃 17-09-13 17:21
 
평강에 묻힌 두보의 묘사(墓祠)와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했던 굴원의 사당을 배관(拜觀)하면서 사람다운 사람은 누구이며, 역사는 무엇인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사달 17-09-13 18:46
 
동양정치의 희망은 요순(堯舜)시대를 재현하는데 있었습니다.
아사달 17-09-13 18:47
 
과거제도의 해악에 대하여 다산은 혹독한 비판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암기 위주의 시험으로 인재를 발탁하는 제도가 지속되는 한, 절대로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다산의 결론이었습니다.
아사달 17-09-13 18:49
 
대학의 입학시험, 사법시험, 행정고시 등 시험으로 인재를 발탁하는 제도처럼 위험한 일이 없다고 여기면서도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은 요원하기만 합니다.
아사달 17-09-13 18:50
 
중국인문기행을 하면서 나는 한국의 참담한 인문적 수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중화(小中華)니 동방예의지국이니 하는 인문적 자존심이나 옛 선비들의 그 치열했던 인문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아사달 17-09-13 18:53
 
두보의 시와 범중엄의 악양루기를 보고 난 뒤의 악양루는 어제 듣고 보던 그 악양루가 아니다. 인문의 힘은 이렇게 크다. 평강에 묻힌 두보의 묘사(墓祠)와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했던 굴원의 사당을 배관(拜觀)하면서 사람다운 사람은 누구이며, 역사는 무엇인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등대 17-09-13 19:20
 
“일본은 해외의 작은 나라지만 그 나라에는 과거학이 없기 때문에 문학(文學)은 구이(九夷:동아시아)에서
뛰어나고 무력(武力)은 중국과 맞먹는다. 또 나라를 유지하여 가는 규모와 기강이 삼엄하게 정제되어
문란하지 않고 조리가 있으니, 이것이 그 드러난 효험이 아닌가.「五學論」”
등대 17-09-13 19:20
 
중국인문기행을 하면서 나는 한국의 참담한 인문적 수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중화(小中華)니 동방예의지국이니 하는 인문적 자존심이나 옛 선비들의 그 치열했던 인문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호반도시 17-09-14 06:34
 
중세인 고려왕조나 조선왕조는 과거제(科擧制)에 의하여 인재를 발탁하고 등용시켰던 이유로
제대로 된 인재가 발탁되지도 못하고 그 제도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세상이 갈수록
타락한 세상이 되었다고 여긴 사람이 다산이었습니다.
호반도시 17-09-14 06:35
 
다산은 시험이 아니라 주도면밀한 추천 제도를 통한 인재발탁을 선호했습니다.
규격과 틀에 짜인 과목을 암기해서 뽑는 시험의 문제를 광범위한 추천 제도를 활용하여
인재 발굴의 길을 열자는 것이었습니다.
호반도시 17-09-14 06:37
 
중국인문기행을 하면서 나는 한국의 참담한 인문적 수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소중화(小中華)니 동방예의지국이니 하는 인문적 자존심이나 옛 선비들의
그 치열했던 인문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밀알 17-09-14 17:02
 
요순시대에는 인재등용에 탁월했기 때문에 겉으로는 아무런 하는 일없이(無爲而治) 보여도 그처럼 좋은 정치가
이룩되었음은 인재등용에 온갖 정성을 바쳐 뛰어난 인재들을 발탁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그들이 책임을
완수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진 결과라는 것입니다.
밀알 17-09-14 17:04
 
주자의 백록동서원이야 그 이름만은 들어 알고 있었지만, 악록서원이 백록동서원에 버금가는
반열의 중국 4대 서원 중 하나요, 어쩌면 세계 최초의 대학이랄 수 있는 역사 깊은 교육기관이라는 것이나,
1167년에 주자가 찾아와 남헌 장식과 3일 밤낮에 걸쳐 심성론(心性論)을 토론한 성리학의 성지라는 것 등은 거기 찾아가서야 비로소 알았다.
현포 17-09-15 00:31
 
과거학(科擧學)은 이단(異端) 가운데서도 폐해가 제일 혹독한 것이다.
과거학의 해독을 가만히 생각해보면 비록 홍수와 맹수라도 비유할 바가 못된다.
현포 17-09-15 00:33
 
과연 중국은 인문의 보고였다. 인간의 무늬, 인문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 가는 곳마다 널려 있었다.
한나라 시대 가의의 고택이 상존하고 있는가 하면 신해혁명의 여전사 추근의 고거(故居)도 가꾸어지고 있었다.
 
 

Total 9,9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8818 커피한잔 생각나게 하는 음악입니다. (12) 구름나그네 09-18
8817 서민갑부 (31) 이순신 09-18
8816 말의 의미를 공유하지 못하는 사회 / 이 땅의 문화는 어디로 갔는가? (35) 선유도 09-18
8815 잼있는 'Never Ending Story' 3분 38초 (24) 딴따라고사리 09-17
8814 가을의 찬서리에도 담담한 뜻을 보인다 (13) 블루베리농장 09-17
8813 미스 춘향의 '원망' 큰 소리꾼이 되거라.. 큰 소리꾼이 되거라... 3분 50초 (16) 딴따라고사리 09-16
8812 세살림~가보신앙에서 생활개벽신앙 으로~` (40) 향수 09-16
8811 오직 정도로만 가게 하소서 (29) 호반도시 09-16
8810 '부(welth)'란? 헨리 데이비드 쏘로 (58) 플라워 09-15
8809 『周易』과 중국 고대 교육3 (33) 선유도 09-15
8808 『周易』과 중국 고대 교육2 (31) 선유도 09-15
8807 『周易』과 중국 고대 교육1 (34) 선유도 09-15
8806 가입인사 드립니다 _()_ (35) 플라워 09-14
8805 가을국화가 피기 전 (16) 블루베리농장 09-14
8804 1. 어머니의 편지, 2. 친구란 무엇인가?, 3. 무거우면 내려놓으면 되지, 4. 바지에 난 구멍은 모두 몇 개일까요? (30) 밀알 09-14
8803 인간 vs 기계 | 인공지능과 영드 'Humans' (12) 구름나그네 09-14
8802 증시랑에 대한 답서 : 1. 여래의 말은 분별심을 치료하는 방편 2.생각 비우면 아무것도 없는 허공 (25) 호반도시 09-14
8801 인재 등용의 어려움 / ‘인문한국’에의 꿈 (36) 선유도 09-13
8800 강수진의《한 걸음을 걸어도 나답게》 * 베스트 파트너 (30) 사오리 09-13
8799 진실한 명성만이 오래간다. (23) 가우스 09-12
8798 50-1<세계의 명소> 지중해성 기후의 선물 그리스- 메테오라, 산토리니 (28) 각설탕 09-12
8797 50<세계의 명소> 지중해성 기후의 선물 그리스- 아테네, 델포이, (30) 각설탕 09-12
8796 저 딱따구리가 전생의 내 애인일까요? (28) 흰두루미 09-11
8795 한주의 시작입니다. 경쾌한 음악과 함께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13) 구름나그네 09-11
8794 원효스님의 발심수행장 (30) 호반도시 09-11
8793 1.위대한 도전, 2.상대방이 되어보는 것, 3.도전하는 자와 안주하는 자, 4.썩은 달걀은 냄새만 맡아도 (25) 밀알 09-10
8792 문왕사명의 세살림 통합경전~광구창생의 길 (46) 향수 09-09
8791 학자와 저서 / 억울한 다산 / 중국과 북한 관계 (33) 선유도 09-09
8790 딱따구리와 동거하는 법 아는 분 없나요? (30) 흰두루미 09-08
8789 영화서원이 중국근대 교육에 미친 영향2 (33) 선유도 09-08
8788 영화서원이 중국근대 교육에 미친 영향1 (30) 선유도 09-08
8787 홍석현의《한반도 평화 만들기》 * 수화명월류(水和明月流) (23) 사오리 09-08
8786 28[헤르메스의 빛으로] 연설가의 설득 기술, 레토리케 (32) 카오스 09-07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