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5-05-22 14:45
다산과 서학(西學): 조선 유학의 영원한 논제, 주재(主宰)2
 글쓴이 : 선유도
 


다산과 서학(西學): 조선 유학의 영원한 논제, 주재(主宰)2


()는 그렇다면 공허한 사물이지 주재에 값하지 않으니이는 진정 이기(理氣)를 협잡(夾雜)한 논의(<창계집(滄溪集)>25, 일록(日錄))라고 했다낙학(洛學)의 종장인 농암 김창협(農巖 金昌協, 1651-1708)은 51세에 지은 <논퇴율양선생사단칠정변(論退栗兩先生四端七情辨)>에서주자가 비록 이()에 정의(情意)와 조작(造作)이 없다고 했으나 기실 그 필연(必然)과 능연(能然), 당연(當然)과 자연(自然)<(위에분명히 존재한다면서 율곡이 이()의 속성으로 필연(必然)과 당연(當然)만 귀속시키고,실질적 능연(能然)을 허여하지 않은 것을 대본처의 실수라고 지적했다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후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이 전개될 무렵율곡을 비판하고 주리(主理)를 천명한 사람들의 중심 논제는 이()에 유위(有爲)의 실질적 주재(主宰)를 허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가령졸수재 조성기(拙修齋 趙聖期, 1638-1687)는 율곡의 이무위기유위(理無爲 氣有爲)가 <거꾸로 된 논의>라고 비판했다만약에 이()가 작위(作爲)가 없고 그리하여 심()의 선악을 다만 기()의 청탁(淸濁)에만 돌린다면()는 선악에 구체적으로 관여할 수가 없게 되는 바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은 쓸모 없는 물건이 되고 만다이를 어찌 만물(萬物), 만사(萬事)의 중심이며 주재(主宰)라 할 것인가.(退栗兩先生四端七情理氣說後辨, <졸수재집(拙修齋集)> 11 잡저(雜著).) 창계 임영(滄溪 林泳, 1649-1696) 또한 졸수재를 따라만일 모든 것을 기()의 소위(所爲)로 돌린다면이른바 이()란 만물(萬物소이연(所以然)의 총명(總名)일 뿐이니그 가운데서 선악(善惡)은 아무런 정향(定向)이 없게 된다

노재 임상덕(老村 林象德, 1683-1719)은 소론계의 인물로 낙학에 속하지는 않지만주기(主氣)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그 또한 만약 기화이이승(氣化而理乘)이라면()의 묘()를 찾을 길 없다 면서 이를 대장간의 풀무에 빗대어 설명했다풀무는 쉴 새 없이 요동하지만그 기()는 결국 사람의 손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의 능연(能然또한 본연(本然)의 묘()가 타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가 타지 않았다면 천지(天地)는 무너지고 일월(日月)은 빛을 잃었을 것이다(論氣化理乘老村集』 4)라고 했다.

 지금 살핀 몇몇 인물들에게서도 알 수 있듯조선 유학사는 율곡의 주기적(主氣的정돈 이후에도 그에 대한 주리(主理)의 반발과 회의를 주변 혹은 저류로 지니고 있었다. 18세기초에 격화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은 율곡학파의 주기적(主氣的정돈 내부에서 일어난 <이차적 갈등과 분화>라고 할 수 있다즉 남당은 율곡의 형이상학에서 동거하고 있던 자연학과 신학 가운데 자연학 쪽으로 중심을 이동시켰고외암은 반대로 신학 쪽으로 한 걸음 더 밀고 나갔다.

남당은 기()의 현실성에 주목했고외암은 이()의 초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남당은 기()에 의해 구체화되고 현상화되는 생명의 실질적 개성에 주목했다그는 기국(氣局)에서 본 생명의 양상을 이른바 <()의 삼층설(三層說)>로 정돈하면서 이()의 위상과 권위를 추상적 보편으로 밀쳐 놓았다그의 이런 발상은 율곡의 주기를 자연론적이고 경험적으로 한 발짝 더 밀고 나간 것이다

이에 대해 외암은 생명의 실질적 개성 너머의 이()의 원두(源頭)를 축으로 논의하고 있다그는 이()가 기()에 의해 피동적으로 제약되는 무기력한 존재가 아니라고 생각했다아무런 흔적도 찾을 길 없지만 거기에 또한 만 가지 이치를 숲처럼 내포하고 있는 오묘한 존재그 초월적 이()는 사물과 생명의 본질로서 실질적으로 역사(役事)한다는 것이다인간의 <마음()>이 바로 그 증거이다.

외암에게서 마음은 절대적이고 독립적이다그것은 천군(天君)으로서 기질(氣質)에 의해 제약되거나 침범되지 않는다남당이나 병계의 주장대로 선악이 기()의 작위(作爲)에 오로지 맡겨져 있다면즉 청기(淸氣)이면 선()할 수 있고 탁기(濁氣)이면 악()일 수밖에 없다면 ― 진정한 주재도덕적 책임은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이것은 이 세상 너머의 절대적 의지를 통해 세상과 인간을 보는 방식이다.거기서 세상의 거죽의 차이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다만 그 절대적 의지를 이 땅에 어떻게 구현할 것이냐이다.

요컨대 외암은 기()의 차이와 제약을 무시하면서 이()의 절대적 주체성과 자기동일성을 천명했다.그것은 주리적(主理的입장을 퇴계보다 한발짝 더 밀고 나간 것이다인물성동이론으로 하여 조선 유학은 율곡과 퇴계가 형성하고 있던 이기(理氣)의 스펙트럼을 좌우로 더 크게 확장시킨 셈이 되었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 국민은행 474901-04-153920 성사재인(김갑수)



빈병 15-05-22 15:07
 
18세기초에 격화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은 율곡학파의 주기적(主氣的) 정돈 내부에서 일어난 <이차적 갈등과 분화>라고 할 수 있다. 즉 남당은 율곡의 형이상학에서 동거하고 있던 자연학과 신학 가운데 자연학 쪽으로 중심을 이동시켰고, 외암은 반대로 신학 쪽으로 한 걸음 더 밀고 나갔다.
선유도 15-05-22 15:11
 
주기와 주리의 논쟁은 닭과 계란의 논쟁일까?
만사지 15-05-22 16:27
 
이(理)가 작위(作爲)가 없고 그리하여 심(心)의 선악을 다만 기(氣)의 청탁(淸濁)에만 돌린다면, 이(理)는 선악에 구체적으로 관여할 수가 없게 되는 바,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은 쓸모 없는 물건이 되고 만다. 이를 어찌 만물(萬物), 만사(萬事)의 중심이며 주재(主宰)라 할 것인가.(退栗兩先生四端七情理氣說後辨, <졸수재집(拙修齋集)> 권11 잡저(雜著).)
만사지 15-05-22 16:28
 
창계 임영(滄溪 林泳, 1649-1696) 또한 졸수재를 따라, 만일 모든 것을 기(氣)의 소위(所爲)로 돌린다면, 이른바 이(理)란 만물(萬物) 소이연(所以然)의 총명(總名)일 뿐이니, 그 가운데서 선악(善惡)은 아무런 정향(定向)이 없게 된다.
객1 15-05-22 17:35
 
출근하고 읽어 보것습니다. 선풀 답니다~
등대 15-05-22 18:22
 
조선 유학은 율곡과 퇴계가 형성하고 있던 이기(理氣)의 스펙트럼을 좌우로 더 크게 확장시킨 셈
된장찌개 15-05-22 19:40
 
조선 유학사는 율곡의 주기적(主氣的) 정돈 이후에도 그에 대한 주리(主理)의 반발과 회의를 주변 혹은 저류로 지니고 있었다. 18세기초에 격화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은 율곡학파의 주기적(主氣的) 정돈 내부에서 일어난 <이차적 갈등과 분화>라고 할 수 있다. 즉 남당은 율곡의 형이상학에서 동거하고 있던 자연학과 신학 가운데 자연학 쪽으로 중심을 이동시켰고, 외암은 반대로 신학 쪽으로 한 걸음 더 밀고 나갔다.
아사달 15-05-22 20:09
 
잘 읽어봅니다.
명유리 15-05-22 20:19
 
졸수재 조성기(拙修齋 趙聖期, 1638-1687)는 율곡의 이무위, 기유위(理無爲 氣有爲)가 <거꾸로 된 논의>라고 비판했다. 만약에 이(理)가 작위(作爲)가 없고 그리하여 심(心)의 선악을 다만 기(氣)의 청탁(淸濁)에만 돌린다면, 이(理)는 선악에 구체적으로 관여할 수가 없게 되는 바,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은 쓸모 없는 물건이 되고 만다. 이를 어찌 만물(萬物), 만사(萬事)의 중심이며 주재(主宰)라 할 것인가.(退栗兩先生四端七情理氣說後辨, <졸수재집(拙修齋集)> 권11 잡저(雜著).)
사람과사람들 15-05-22 22:27
 
남당은 기(氣)의 현실성에 주목했고, 외암은 이(理)의 초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오리 15-05-22 23:31
 
모든 소리가 고요해진 가운데 문득 새 한 마리 지저귀는 소리를 들으면
온갖 그윽한 흥취가 일어나며, 모든 초목이 시들어 버린 뒤에 어디선가
나뭇가지 하나 빠꼼이 솟아남을 보면 곧 무한한 생기가 촉발되어 움직인
다. 여기에서 만물의 본성이 항상 메마른 적 없고 기미의 현묘함이 일어
남을 알리라.,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513 다산과 서학(西學): 조선 유학의 영원한 논제, 주재(主宰)2 (11) 선유도 05-22
2512 다산과 서학(西學): 조선 유학의 영원한 논제, 주재(主宰) (10) 선유도 05-22
2511 SNS 난법일기14 - 주체주의로의 조직화 (18) 이순신 05-22
2510 지갑 속에 담긴 사랑 이야기 (9) 혁명밀알 05-22
2509 로스웰 2~ (15) 향수 05-21
2508 다산과 서학(西學)- 2. 이(理),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존재의 이름 (9) 선유도 05-21
2507 다산과 서학(西學): 조선 주자학의 연속과 단절 (9) 선유도 05-21
2506 화장실에서 보는 책 < 마음은 청춘. 앗 나의 실수> (8) 객1 05-21
2505 김희원, 천장 뚫는 가창력!! 'Fame♪ (4) 딴따라고사리 05-21
2504 잃어버린 인생 20년 줌마. (9) 각설탕 05-21
2503 조로아스터교에서 예언된 메시아 (8) 게리 05-21
2502 [레고바이블] 삼손에게 씌인 사막잡귀 (8) 게리 05-21
2501    삼손에게 씌인 여호와 귀신 (7) 게리 05-21
2500 고양이 역장, 다행이 동화책 (9) 혁명밀알 05-21
2499 맥스 프리덤 롱의《호오포노포노, 후나의 기적의 치유법》 * 힐러의 손 (9) 사오리 05-20
2498 2592번 만사지님 '하늘에서 내린 천부인권 결론이 혁명이다를 읽고 덧붙임 (13) 똑딱벌레 05-20
2497 로스웰 외계인 인터뷰. 1 (19) 향수 05-20
2496 쉬어가는 길 - 고창 선운사 가는 길 (18) 현포 05-20
2495 다산정약용의 사유(상제)와 서구적 사유의 차이점2 (11) 선유도 05-20
2494 다산정약용의 사유(상제)와 서구적 사유의 차이점 (10) 선유도 05-20
2493 복면가왕 고주파 쌍더듬이-그대안의 블루 (5) 딴따라고사리 05-20
2492 판밖성도의 천지도수 - 변산 개화도수의 지리인사적 기틀 (19) 칠현금 05-20
2491 [군자 삼변(君子三變)에 비춰 본 예수교] (9) 게리 05-20
2490 복음서안에서 엇갈리는 예수의 행적 (8) 게리 05-20
2489 [레고바이블]판관기(=사사기) 19장 1절~30절, 20장 1절~48절 (6) 게리 05-20
2488 허술하게 만들어진 인생의 집 (10) 혁명밀알 05-20
2487 고도원의《위대한 시작》 * 뿌리와 날개 (8) 사오리 05-19
2486 '남산 돈까스' 김형욱과 '제갈조조' 이후락 (10) 목화씨 05-19
2485 회상2-꼴蒭 (15) 아사달 05-19
2484 夜半(야반) (15) 몽마르뜨 05-19
2483 다산정약용 사상과 서구 합리성2 (8) 선유도 05-19
2482 다산정약용 사상과 서구 합리성 (11) 선유도 05-19
2481 클레오파트라,질풍노도 유니콘 - 오페라의 유령 (5) 딴따라고사리 05-19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