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론방 > 학고재


 
작성일 : 14-03-05 11:47
선지조화
 글쓴이 : 향수
 
상제님께서 불은 선의 밑자리라고 하시었고 선은 조화라고 하시엇다. 선불은 일란성 쌍둥이라는 말도 하지만 불은 마음을 통째로 깨달으려 하는데 주안이 잇고 선은 몸 안의 기를 다스려 수승화강을 일으키고 그 기와 천지자연의 기를 연결하여  호풍환우하는 구체적인 조화를 부리는것 까지 이르게 하는 가르침이 될 것이다.
 
정기신 이라 할 때 불은 신(神) 선은 기(氣) 유는 정으로 분류한다. 어찌보면 불가 선가는 체용 같은 관계이다.
 
도가인 선가는 어마어마한 도장경의 내용이 전해진다고 한다.
 
불가의 마음도 원리적으로는 토(土)를 말하는 것이고 선가는 토를 이루는 것은 수승화강  같은말로 감리교구 라고 하는것인데 사실 이는 전문적인 의학에서도 많이 연구되어 왔다고 보여진다. 도가는 수련시 하단전을 중요시한다. 의가에서는 명문진주 라고 하는 곳인데 멀리 황제내경 영란비전론에도 그런 내용이 나온다.
 
도가의 왕이라 전하는 참동계에는 태을원군이라는 말이 나온다. 여기서 태을원군은 자기의 원신이라고 한다. 태을은 태극을 말한다. 태일이라고도 하고 신화시켜 태을이라고 하는것  이다. 상제님께서도 보신바 있는 영보국정정지법은 송나라 도사인 정소남의 태극제련내법이라는 책에서 유래한바가 많다.
 
 태을주도 역시 이곳에서 많은 자료의 근원을 살펴볼수있는데 달마도 마음이 성숙해지면 몸 안에서 마치 태양 같은 환한 불빛이 생겨난다고 달마 달마혈맥론에서 밝힌바 있다.
 
신과 기는 모자관계이다. 기령을 신이라 한다고 상제님께서 교시한바 있다.
 
태을주는 훔치~의 소울음 소리 토화작용을 의미한다. 토화작용이 일어나면 일부러 존상법등을 하지 않아도 천지의 신명과 교류가 일어날것이고 가장 수행의 지름길이 될 것이다. 태을원군 태일구고천존 태을제군등 같은 의미라고 보여진다. 태을천상원군 님은 자기의 원신이 아니고 천지의 원신을 가르치시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체에서도 주제는 마음이 하지만 몸은 하단전의 명문에서 주관하는것 과도 상통하는 점이 잇을 것이다, 의가에서는 명문을 소심진주라고 한다.
 
요즘 잘 모르지만 딴전님께서 도통 나온다고  하시는가 본데 부디 큰 도통이 내려 올바른 도정이 집행되어 혁명이 왜 일어낫는지 해오하는 계기가  되엇으면 좋겠다.
 
상제님께서는 옛사람은 알기만 하고 용사는 못하엿다고 하시엇다. 도통이 있다면 태사부님 말씀대로 후천이 이루어지고 나서 다 같이 한꺼번에 나올 것이라 믿는다.
 
태극제련내법으로 박사학위 논문을 어느 밀알님이 보내주신바 잇읍니다. 전문을 한꺼번에 소개하는것은 안되고 간단히 약해서 나누어 올려보도록 하겟읍니다.


※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이태백 14-01-27 15:24
 
박사학위 논문이라굽쇼??...감사합니다..!!
그냥 14-01-27 20:21
 
어렵긴 하지만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비바체 14-01-27 21:39
 
향수님 글을 읽으시기 전에 참조하면 좋을 듯 합니다. 
소남 정사초의 <태극제련내법> 수행론 연구/ 김수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2 박사학위 논문 

內丹思想은 成仙과 得道를 위한 체계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도교수행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몸과 마음을 함께 닦는 性命雙修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우주의 근원인 道에 합일함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내단사상은 깊은 내면적 성찰과 지속적 구도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로 소수의 지식계층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法術道敎는 민간들 사이에 환영받은 도교적 현상으로서 呪文·齋醮·符록 등의 방술을 시행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는 초기 도교교단인 張陵(85∼157)의 '五斗米道'에서 출발하여 이후 天師道로 전승되며 발전되었다. 내단과 법술은 원래 서로 융합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상호 융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宋代에 이르러 법술파인 神소派의 雷法에서 내단[道]과 법술[法]의 융합인 道·法融合思想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내단사상은 이론이 지나치게 고준하고 수련과정이 어려워 개인적이며 소규모적 형태를 벗어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 이에 비해 법술도교는 많은 민중의 지지를 받았지만 기복적인 신앙과 제사의식 중심에 머무르는 한계를 보였다. 이 두 유파는 각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다가 송대에 이르러 두 가지를 융합하려는 움직임이 출현하였다. 靈寶派 道士 所南 鄭思肖(1241∼1318)의 『太極祭鍊內法』에서 제시한 도·법융합사상이 그 대표적 예이다. 도·법융합이란 道術인 內丹思想과 法術인 道敎方術의 융합을 뜻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단을 體로 삼고, 법술을 用으로 삼으며, 또는 內丹思想을 本으로 삼고, 주문·재초·부록을 末로 삼는 사상을 의미한다. 『태극제련내법』에서 도·법융합사상은 그 기본적 방향이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내단수련법과 법술수련법으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중 내단수련은 다섯 가지 세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至誠論으로서 이는 유교적 수행론에서 강조하는 정성을 내단수련의 기초적 마음공부로 삼고 있음을 의미한다.둘째는 상청파의 存思法과 신소파의 雷法에 나타난 도·법융합적 성격을 수용하여 내단수련에 활용하고 있다. 
셋째는 性命雙修論으로서 전통적인 내단사상에서 제시한 性命의 개념을 정사초는 靈寶로 표현하고 있다. 
넷째는 坎離交구論이다. 정사초는 기존 감리교구를 응용하여 수화의 조화에 의해 성선과 득도를 이루는 水火鍊度를 밝혔다.다섯째는 상세한 수련단계를 제시한 부분으로서 『태극제련내법』에서는 築基 단계를 定靜으로, 鍊精化氣 단계를 採藥·九轉·水升火降·玉液還丹으로, 鍊氣化神의 단계를 還童·脫胎·默朝上帝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법술수련법에는 재초·주문·부록과 기타 다양한 법술이 있다. 재초에는 내단의 수화원리를 가미한 水火鍊度 儀式이 중요하며, 주문에는 옴훔타리[唵흠타唎] 주문연도가, 부록에는 丹陽符祭鍊과 南斗六星 부록연도가 있다. 기타 법술수련에는 五行相生眞氣와 도五訣이 있다. 오행상생진기는 인체의 五臟의 五氣를 존사하여 五氣朝元을 얻는 것을 지향하며, 도오결은 五氣呼吸으로 건강을 유지하는 養生術이다. 『태극제련내법』의 도·법융합사상에는 水火鍊度思想이 특히 중요시 되고 있다. 이는 불교 천도사상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데 내단수행자의 제련을 통해 죽은 유혼을 천도함을 의미한다. 소남은 『태극제련내법』에서 삼교융합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내단사상을 체로 하고 도교법술을 용으로 하는 도·법융합사상을 전개하여 도교사상사에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수화연도사상을 주장하여 개인 수행의 완성과 함께 죽은 일체유혼의 제도라는 대승적 구제사상을 제시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태극제련내법』은 한국의 구한말 신종교에 큰 영향을 끼쳤다. 甑山敎의 太乙呪 주문수련과 그의 유파인 三德敎의 수련법문인 『生化正經』에 수록된 李玉圃(?∼?)의 『靈寶局定靜篇』에서 『태극제련내법』의 영향이 나타난다. 또한 圓佛敎의 교조 少太山 朴重彬(1891∼1943)의 『修養硏究要論』과 그의 후계자 鼎山 宋奎(1900∼1962)가 찬술한 『修心正經』에서도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내단수련에 있어서 수화연도사상이 定靜이란 이름으로 수행의 요체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비바체 14-01-27 21:40
 
I.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2. 선행연구의 검토 3. 연구방법과 범위 
II. 『태극제련내법』의 성립과 구조 
1. 송대의 도·법융합사조 2. 소남 정사초의 생애 3. 『태극제련내법』의 구조 

III. 『태극제련내법』의 내단수련법 
1. 지성론의 유·도융합적 성격1) 『통서』의 성 2) 『태극제련내법』의 성 
2. 존사법과 뇌법에 나타난 도·법융합적 성격 1) 존사법의 수용 2) 뇌법의 수용 
3. 『태극제련내법』의 성명쌍수론 
1) 성명과 태일 2) 정·기·신과 삼단전 3) 『태극제련내법』의 단전과 경맥 

4. 『태극제련내법』의 수화연도가 갖는 감리교구적 성격 
1) 취감전리 2) 수화연도 
5. 『태극제련내법』의 『내련법』에 나타난 도·법융합적 성격 
1) 정정(축기) 2) 채약·구전·수승화강·옥액환단(연정화기) 3) 환동·탈태·묵조상제(연기화신) 

IV. 『태극제련내법』의 법술수련법 
1. 수화연도의 도·법융합적 성격 2. 수화연도의식에 나타난 천도사상과 권선신앙 
1) 소혼·보청문 2) 삼귀의·구진묘계 3. 옴홈타리 주문연도 4. 단양부전 제련과 남두육성 부록연도 
1) 단양부전 제련 2) 남두육성 부록연도 
5. 기타 법술수련 1) 오행상생진기 2) 도오결 

V. 『태극제련내법』의 도교사상사적 위치 
1. 도·법융합론의 도교사상사적 위치 
1) 내단사상사적 위치 2) 법술도교사상사적 위치 3) 삼교융합적 의미 
2. 명·청대에 미친 영향 3. 한국 신종교에 미친 영향 1) 증산교에 미친 영향 2) 원불교에 미친 영향 

VI. 결론 

표목차 
〈표 1〉 삼오신 〈표 2〉 정기신·삼단전·일월성의 관계 〈표 3〉 『태극제련내법』과 『난경』 비교 
〈표 4〉 『태극제련내법』과 『동의보감』 비교 〈표 5〉 남녀 단전 비교 〈표 6〉 수화연도와 신기정채 
〈표 7〉 『구전내단결』과 『내련법』 비교〈표 8〉 남두육성과 망혼육성 〈표 9〉 오행관계표 
〈표 10〉 도오결·오행·오장·오의·상생진기의 관계 〈표 11〉 『태극제련내법』의 영향서〈표 12〉 
 『태극제련내법』의 영향서 비교 
그림목차 
〈그림 1〉 존사도 I 〈그림 2〉 존사도 II 〈그림 3〉 단양부전
해롱대사 14-01-28 01:55
 
증산 상제님 말씀 하시기를 -  불은 선의 밑자리, 선은 조화, 불은 마음. 선은 수승화강 
정기신 이라 할 때 불은 신(神),  선은 기(氣) 유는 정으로 분류한다. 어찌보면 불가 선가는 체용 같은 관계이다.
해롱대사 14-01-28 01:58
 
불가의 마음도 원리적으로는 토(土)를 말하는 것이고  선가는 토를 이루는 것은 수승화강  같은말로 감리교구 라고 하는것,  도가는 수련시 하단전을 중요시, 의가에서는 명문진주 라고 하는 곳,  황제내경 영란비전론에도 그런 내용이 나온다.
해롱대사 14-01-28 02:02
 
도가의 왕이라 전하는 참동계 태을원군이라는 말이 나온다. 태을원군은 자기의 원신이란 뜻 
태을은 태극을 말한다. 태일이라고도 한다. 상제님께서도 보신바 있는 영보국정정지법은 송나라 도사인 정소남의 태극제련내법이라는 책에서 유래
해롱대사 14-01-28 02:02
 
신과 기는 모자관계이다. 기령을 신이라 한다고 상제님께서 교시한바 있다.
해롱대사 14-01-28 02:05
 
태을주는 훔치~의 소울음 소리 토화작용을 의미, 수행의 지름길
해롱대사 14-01-28 02:06
 
의가에서는 명문을 소심진주라고 하는데, 인체에서도 주제는 마음이 , 몸은 하단전의 명문에서 주관하는것 과도 상통하는 점이 잇을 것.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Total 153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120 [부도지] 제1장 마고성 칠현금 05-11
119 [부도지] 징심록 추기 칠현금 05-11
118 불가의 적멸~열반은 상제님이 강충하여주신 본성에서~ (1) 향수 04-29
117 상제님 사주~ 향수 04-25
116 차경석 성사 훈사기 (5) 향수 04-25
115 규봉 종밀선사의 마음에 대한 깨달음 (1) 향수 04-20
114 불가 견성에 대한 단상~ (1) 향수 04-18
113 육조혜능의 즉각 깨달아라~~ (1) 향수 04-14
112 정역의 핵심 오의~ 향수 04-13
111 서산대사 선가귀감의 주체성 강조하는 불가의 명구들 (1) 향수 04-04
110 불지형체 마음을 밝게하는 서산대사 (4) 향수 04-01
109 문왕세자편 향수 03-05
108 태전 주변의 산 모양은 후천팔괘인가 향수 03-05
107 신도의 진리를 밝히는 중화경~추지기는 신야~라 향수 03-05
106 의통에 대한 단상 향수 03-05
105 불교단상 향수 03-05
104 정역~단상 향수 03-05
103 와선~오룡반체위 향수 03-05
102 태을천 상원군 님~~ 향수 03-05
101 선지포태 향수 03-05
100 천지조화를 일으키는 선천진기 태을주 향수 03-05
99 선지조화 향수 03-05
98 시한부개벽설의 허구/태을신수 칠현금 03-05
97 불지형체와 중도에 대하여~ 향수 03-05
96 나무아미타불 향수 03-05
95 칠현금 / 시한부개벽설의 허구/ 현무경 오부(午符) (1) 칠현금 03-05
94 황제음부경 끝(黃帝陰符經竟) - 삼황옥결 개념보충 (1) 칠현금 03-05
93 황제음부경 제 9장 성인(聖人) 칠현금 03-05
92 황제음부경 제 8장 제기(制氣) 칠현금 03-05
91 황제음부경 제 7장 지락(至樂) 칠현금 03-05
90 황제음부경 제 6장 용사(用師) 칠현금 03-05
89 황제음부경 제 5장 일월(日月) 칠현금 03-05
88 황제음부경 제 4장 천생(天生) 칠현금 03-05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