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9-07-28 10:18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글쓴이 : 고미기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도전에 보면 이런 이야기가 있다.

어떤 사람이 선술을 배우기 위해 선술을 가르쳐 준다는 주인을 찾아간다. 주인은 그에게 10년 동안 머슴살이로 정성을 보이라 한다. 그래서 그는 그 집 머슴이 된다. 그리고 10년의 정성을 바친다. 그런데 그 보상으로 받은 것이 허망하게도 연못 위로 뻗은 버들가지에 올라가 연못으로 뛰어 내리라는 것이었다. 이 머슴은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주인이 시키는 대로 버들가지 위로 올라가 뛰어 내린다. 그랬더니 다 떨어지기 전에 <선악소리>가 나며 찬란한 보련이 나타나서 그를 태우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얘기다. 이 이야기를 마친 상제님께서는 이렇게 물으신다.

<이것이 학자의 정성이냐 주인의 도술이냐?>

그런데 이 이야기는 학자의 정성과 주인의 도술을 논하기 전에 <현실적인 얘기일까 아니면 추상적인 정신 현상에 대한 비유일까?>하는 것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만약 이것이 현실역사적인 사건이라면 죽어서 천국가는 선천종교의 휴거적인 이야기이지만, 정신개혁을 위한 비유라면 환상에 찌든 마음을 고치는 개심의 길을 제시한 것이다. 필자는 윤택한 현실생활을 추구하므로 후자의 관점에서 이 성구를 해석한다.

대개 사람들은 망상에 갇혀서 산다. 없는 것을 있다고 믿고 사는 것만큼 허망한 일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만든 환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마음을 고친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환상의 세계로부터 벗어나 현실로 돌아오는 것이다.

오래 전 보았던, 그래서 기억마저 가물거리는, 이외수씨의 <벽오금학도>라는 소설과 <태왕사신기>라는 드라마의 공통점은 생명처럼 숭배하던 소중한 물건을 버리고 현실역사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소설에서는 벽오금학도를 칼로 찢어버리고, 드라마에서 네 개의 신물을 없앴다는 것은 건전한 생을 위해서는 환상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상제님 신앙인들만큼, 아니 각색 종교의 종교인들만큼 환상에 젖어 살아가는 사람들도 없다. 서나동을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은 곧 전쟁이 나고 시두가 돌며 병겁이 밀어 닥치면 한 생명건지는 것은 물론이요, 개벽된 세상에서 좋은 자리를 선점하겠다는 욕심이 바닥에 깔려 있는 것이다. 이것이 그들이 믿는 진리의 전모다.

또 서나동을 떠나 새로운 지도자를 만나 통일천하를 위해 종군하는 사람들 또한 환상에 젖어 살기는 마찬가지다. 정치를 해 <몽골부터 통일하면 지구촌 통일의 길이 열린다>는 꿀 떨어지는 이야기를 주워 먹고 자신의 생은 점점 피폐해지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체 오늘도 그 현란한 입 앞에 쭈그리고 앉아 환상의 모래성만 쌓고 있는 것이다.

상제님께서는 <태을주는 우주 율려律呂>라고 하셨다. 율려를 순수음양이라 하면 순수란 다른 말로 음양운동의 핵심이다. 핵심이란 또 다른 말로 알갱이요 고갱이다. 이 고갱이가 사라지면 생명이 죽은 거나 다를 바 없는 것이다.

그래서 태을주를 읽으면 율려를 깨닫게 되는데, 이것은 무엇을 하든 그 핵심을 어느 누구보다 빨리 체득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무엇을 하든 핵심을 보지 못하면 부평초처럼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기 마련이다. 진정으로 태을주를 읽으면 그 핵심에 접근하는 힘이 생긴다.

그럼 우리 삶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환상을 버리고 현실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 현실 중에 핵심 고갱이 즉 극현실이 무엇이냐면 <녹>이다. 결혼을 <현실>이라고 하는 것은 사랑에도 녹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태을주를 읽으면 녹이 붙는다는 것은 태을주를 읽어 환상을 걷어내고 극현실을 마주하면 녹을 창출하기위해 노동의 신성함을 깨닫게 된다는 의미다. 다리 꼬고 앉아 주문만 읽으면 저절로 돈이 생겨 주머니로 들어오지 않는다.

현실에서 이런 <저절로 돈>이 가능하면 그것은 혹세무민의 선구자요 사기꾼일 뿐이다. 이런 <저절로 돈>을 추구하는 것은 목이 마르다고 바닷물을 퍼먹는 것과 같다.

다시 성구로 돌아와 보자. 여기서 버들가지 끝은 마지막 남은 환상의 의지처다. 이 의지를 버리고 허공으로 뛰어 내렸더니 어떤 환상에도 사로잡히지 않은 찬란한 현실을 만난다. 이 머슴이 들은 <선악소리>는 현실 삶의 핵심을 체득한 기쁨이다.

우리가 어떤 일에 정통하였을 때 심연 저 깊은 곳에서 밝은 빛 같기도 하고 소리 같기도 한 무엇이 꿈틀거리는데 사람에 따라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허공을 향해 탄성을 지르는가하면 자리에서 일어나 덩실덩실 춤을 추기도 한다.

그래서 태을주를 읽으면 녹을 창출하는 신성한 노동을 즐겨야 한다. 산속이나 선방에 앉아 개구리 마냥 소리만 질러대면 아무 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태모님께서는 개벽을 기다리는 성도들에게 이렇게 말씀 하셨다.

8 “너희들이 앞으로 한 지경을 넘어야 하리니 나는 그것을 걱정하노라.” (道典11:159)

여기서 한 지경은 무엇인가? 개벽인가! 개벽을 기다리지 말라하신 태모님께서 다시 개벽을 말씀하셨을 리 없다. 그러므로 이제 <백척간두에서 갱진일보> 해야 하고 <물위로 뻗은 버들가지 위에서 뛰어내려야 할 때>다. 죽을 것 같은데 죽지 않는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농협 356-0719-4623-83안정주
※ 통합경전계좌 : 국민은행 901-6767-9263노영균sjm5505@hanmail.net
※ 투자금 계좌: 하나은행 654-910335-99107 안정주

겨울 19-07-29 08:54
 
그런데 이 이야기는 학자의 정성과 주인의 도술을 논하기 전에 <현실적인 얘기일까
아니면 추상적인 정신 현상에 대한 비유일까?>하는 것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겨울 19-07-29 08:56
 
무엇을 하든 핵심을 보지 못하면 부평초처럼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기 마련이다.
진정으로 태을주를 읽으면 그 핵심에 접근하는 힘이 생긴다.
겨울 19-07-29 08:58
 
그래서 태을주를 읽으면 녹을 창출하는 신성한 노동을 즐겨야 한다. 산속이나
선방에 앉아 개구리 마냥 소리만 질러대면 아무 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3
 
이것이 현실역사적인 사건이라면 죽어서 천국가는 선천종교의 휴거적인 이야기이지만, 정신개혁을 위한 비유라면 환상에 찌든 마음을 고치는 개심의 길을 제시한 것이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4
 
대개 사람들은 망상에 갇혀서 산다. 없는 것을 있다고 믿고 사는 것만큼 허망한 일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만든 환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마음을 고친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환상의 세계로부터 벗어나 현실로 돌아오는 것이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4
 
개벽된 세상에서 좋은 자리를 선점하겠다는 욕심이 바닥에 깔려 있는 것이다. 이것이 그들이 믿는 진리의 전모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5
 
환상을 버리고 현실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 현실 중에 핵심 고갱이 즉 극현실이 무엇이냐면 <녹>이다. 결혼을 <현실>이라고 하는 것은 사랑에도 녹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6
 
<저절로 돈>을 추구하는 것은 목이 마르다고 바닷물을 퍼먹는 것과 같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7
 
태을주를 읽으면 녹을 창출하는 신성한 노동을 즐겨야 한다. 산속이나 선방에 앉아 개구리 마냥 소리만 질러대면 아무 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얀민들레 19-07-29 09:37
 
이제 <백척간두에서 갱진일보> 해야 하고 <물위로 뻗은 버들가지 위에서 뛰어내려야 할 때>다. 죽을 것 같은데 죽지 않는다.
산백초 19-07-29 11:24
 
만약 이것이 현실역사적인 사건이라면 죽어서 천국가는 선천종교의 휴거적인 이야기이지만,
정신개혁을 위한 비유라면 환상에 찌든 마음을 고치는 개심의 길을 제시한 것이다.
산백초 19-07-29 11:25
 
소설에서는 벽오금학도를 칼로 찢어버리고, 드라마에서 네 개의 신물을 없앴다는 것은
건전한 생을 위해서는 환상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산백초 19-07-29 11:26
 
이 머슴이 들은 <선악소리>는 현실 삶의 핵심을 체득한 기쁨이다.
수양버들 19-07-29 15:44
 
태을주를 읽으면 녹을 창출하는 신성한 노동을 즐겨야 한다. 산속이나 선방에 앉아 개구리 마냥 소리만 질러대면 아무 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태모님께서는 개벽을 기다리는 성도들에게 이렇게 말씀 하셨다.
수양버들 19-07-29 15:45
 
버들가지 끝은 마지막 남은 환상의 의지처다. 이 의지를 버리고 허공으로 뛰어 내렸더니 어떤 환상에도 사로잡히지 않은 찬란한 현실을 만난다. 이 머슴이 들은 <선악소리>는 현실 삶의 핵심을 체득한 기쁨이다.
수양버들 19-07-29 15:46
 
각색 종교의 종교인들만큼 환상에 젖어 살아가는 사람들도 없다.
수양버들 19-07-29 15:46
 
다리 꼬고 앉아 주문만 읽으면 저절로 돈이 생겨 주머니로 들어오지 않는다.
현실에서 이런 <저절로 돈>이 가능하면 그것은 혹세무민의 선구자요 사기꾼일 뿐이다. 이런 <저절로 돈>을 추구하는 것은 목이 마르다고 바닷물을 퍼먹는 것과 같다.
수양버들 19-07-29 15:47
 
죽을 것 같은데 죽지 않는다.
늘배움 19-07-29 17:47
 
마음을 고친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환상의 세계로부터 벗어나 현실로 돌아오는 것이다.
늘배움 19-07-29 17:48
 
정치를 해 <몽골부터 통일하면 지구촌 통일의 길이 열린다>는 꿀 떨어지는 이야기를 주워 먹고 자신의 생은 점점
피폐해지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체 오늘도 그 현란한 입 앞에 쭈그리고 앉아 환상의 모래성만 쌓고 있는 것이다.
늘배움 19-07-29 17:48
 
여기서 한 지경은 무엇인가? 개벽인가! 개벽을 기다리지 말라하신 태모님께서 다시 개벽을 말씀하셨을 리 없다.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9344 태풍 바로 알기 (40) 블루베리농장 08-23
9343 뒤돌아 품는 도시, 부다페스트 (31) 각설탕 08-23
9342 호고(好古)는 학자의 바른 길이다 / 돌아가면 안 되나 (41) 선유도 08-23
9341 고전 오디세이 ⑦ 방패를 버린 아르킬로코스 (37) 카오스 08-22
9340 레너드 제이콥슨의《마음은 도둑이다》 * 떠돌다 찾아올 '나'를 기다리며... (35) 사오리 08-21
9339 [붓다를 만난 사람들] 25. 빔비사라 (36) 호반도시 08-18
9338 인공지능(AI)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할 것인가? .. / 진영 없는 진영논리 (36) 선유도 08-17
9337 미국은 어떻게 패권국가가 되었을까?, 중국군 장교들에 관한 소견! (42) 현포 08-16
9336 알프레드 아들러의《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 '한 번 제대로 깨닫는 것' (34) 사오리 08-16
9335 불은 선의 밑자리니라~ (40) 향수 08-15
9334 감히 ~~~ 어딜 맞 먹으려고 (31) 고기먹는땡중 08-15
9333 전 세계 도시의 과거와 현재 2 (27) 해오 08-14
9332 전 세계 도시의 과거와 현재 1 (24) 해오 08-14
9331 폭서의 한가운데서 서늘함을 생각하다 / 은폐된 전쟁으로서의 분단 (35) 선유도 08-13
9330 조금은 느슨, 약간은 삐딱한 시드니 (32) 각설탕 08-12
9329 민중과 리더6 <진묵대사와 성리대전> (42) 아사달 08-11
9328 [붓다를 만난 사람들] 24. 마하캇차야나 (32) 호반도시 08-11
9327 임재양의《의사의 말 한 마디》 * '나 목말라, 물 좀 줘' (36) 사오리 08-10
9326 부당한 권력에 맞서던 채제공 / 재판을 거래하다니 / 뜨거운 가슴, 차가운 머리 (39) 선유도 08-09
9325 [붓다를 만난 사람들] 23. 푼니카 (28) 호반도시 08-08
9324 Gary Moore - Parisenne Walkway (From "One Night In Dublin: A Tribute To Phil Lynott") (31) 슐러거매니아 08-07
9323 軍神 이순신 뒤에 천재 멘토 류성룡 있었다 (51) 흰두루미 08-07
9322 이순신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49) 흰두루미 08-07
9321 루쉰의《고향》중에서 * 희망이란 (38) 사오리 08-07
9320 1. 로마에 모인 7만명 복사들…2. 식당ㆍ공연장 돼 버린 캐나다 퀘백주 교회의 슬픈 변신. 3. 한국어로 번역된 교황청 새 문헌 (37) 게리 08-06
9319 2018 양자 컴퓨팅과 기업··· 기억해야 할 3가지 (48) 블루베리농장 08-04
9318 유머 감각이 있고 유럽연합 본부가 있는 브뤼셀 (38) 각설탕 08-04
9317 고전 오디세이 ⑥ 문명과 제국 : 아이네아스의 방패 (42) 카오스 08-02
9316 [붓다를 만난 사람들] 22. 아누룻다 (35) 호반도시 08-01
9315 시험지 유출, 막을 수 없는가 / 중국을 공부하자 (48) 선유도 07-31
9314 김윤규의《청년장사꾼》 * '청년장사꾼' (41) 사오리 07-30
9313 [붓다를 만난 사람들] 21. 마하캇사파 (38) 호반도시 07-29
9312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48) 현포 07-27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